알레르기 결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25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4월 29일 (금)
잔글
잔글 (→‎증상)
잔글 (→‎초기)
11번째 줄: 11번째 줄:
== 증상 ==
== 증상 ==
=== 초기 ===
=== 초기 ===
(합쳐서 TIREd 라고 줄여서 부르기도 함<ref name=r3>Fauquert JL. Diagnosing and managing allergic conjunctivitis in childhood : The allergist's perspective. ''Pediatr Allergy Immunol''. 2019 Jun;30(4):405-414. [https://pubmed.ncbi.nlm.nih.gov/30742722/ 연결]</ref>) : 눈물, 가려움, 발적, 부종 - 히스타민이 수용체와 결합하여 나타난다.
히스타민이 수용체와 결합하여 나타나며, 눈물, 가려움, 발적, 부종 (합쳐서 TIREd 라고 줄여서 부르기도 함<ref name=r3>Fauquert JL. Diagnosing and managing allergic conjunctivitis in childhood : The allergist's perspective. ''Pediatr Allergy Immunol''. 2019 Jun;30(4):405-414. [https://pubmed.ncbi.nlm.nih.gov/30742722/ 연결]</ref>) 의 증상이 나타난다.
 
=== 후기 ===
=== 후기 ===
후기 증상은 몇 시간 뒤에 나타나며, 림프구, 중성구, 호염구, 호산구 등 다양한 세포의 상피 침윤이 특징이다. 이는 광시증, 안통, 시력 저하, 분비물 (합쳐서 POVD라고 줄여서 부르기도 함<ref name=r3 />) 등으로 나타나는 만성 염증으로 이어진다.
후기 증상은 몇 시간 뒤에 나타나며, 림프구, 중성구, 호염구, 호산구 등 다양한 세포의 상피 침윤이 특징이다. 이는 광시증, 안통, 시력 저하, 분비물 (합쳐서 POVD라고 줄여서 부르기도 함<ref name=r3 />) 등으로 나타나는 만성 염증으로 이어진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