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기능)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방수/생산]]'' 참고 | ''[[방수/생산]]'' 참고 | ||
== 기능 == | == 기능 == | ||
적절한 안압을 형성하여 안구의 형태와 광학적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 이외에 혈관이 없는 조직인 각막,수정체,섬유주,유리체 전면 등에 각종 기질과 | 적절한 안압을 형성하여 안구의 형태와 광학적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 이외에 혈관이 없는 조직인 각막,수정체,섬유주,유리체 전면 등에 각종 기질과 아스코르브산을 공급하고 그들로부터 대사 물질들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각막은 방수로부터 포도당과 산소를 공급 받고 젖산과 이산화탄소를 방수로 분비한다. 수정체 역시 포도당을 공급받고 젖산과 피루브산을 분비한다. 방수에 존재하는 면역글로불린은 병원체에 대한 방어와 면역 반응에 기여한다. | ||
== 성분 == | == 성분 == | ||
방수는 표본을 채취하기가 어렵고 특히 사람의 후방에서 채취하기 어렵다. 또한 방수의 성분은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안구 내 경로를 지나면서 그 성분의 변화가 일어난다. 유수정체안과 무수정체안에서 방수의 성분이 비슷한 것으로 미 루어 수정체의 대사는 방수의 성분에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확산에 의한 홍채와의 성분 교환은 전방과 후방 간에 방수의 성분 변화에 영향을 주는 의미있는 요소로 여겨진다. 영장류에서 표지자를 이용한 연구에 의하면 눈의 조직들로부터 혈류로 단방향 소낭성 운반 (uni-directional vesicular transport) 에 의해 방수와 음이온성 물질이 선택적으로 이동한다. | 방수는 표본을 채취하기가 어렵고 특히 사람의 후방에서 채취하기 어렵다. 또한 방수의 성분은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안구 내 경로를 지나면서 그 성분의 변화가 일어난다. 유수정체안과 무수정체안에서 방수의 성분이 비슷한 것으로 미 루어 수정체의 대사는 방수의 성분에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확산에 의한 홍채와의 성분 교환은 전방과 후방 간에 방수의 성분 변화에 영향을 주는 의미있는 요소로 여겨진다. 영장류에서 표지자를 이용한 연구에 의하면 눈의 조직들로부터 혈류로 단방향 소낭성 운반 (uni-directional vesicular transport) 에 의해 방수와 음이온성 물질이 선택적으로 이동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