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프니아 알베이: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1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5월 4일 (수)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국외에서 이 세균에 의한 안내염 사례가 일부 보고되었으며<ref>Ruiz-Moreno JM et al. Delayed-onset postop. endophthalmitis caused by Hafnia alvei. ''Eur J Ophthalmol''. 2001 Apr-Jun;11(2):189-92. [https://pubmed.ncbi.nlm.nih.gov/11456025/ 연결]</ref>, 국내에서는 이식편대숙주질환 환자에서 TCL 착용 후 발생한 각막염이 보고된 바가 있다<ref>박상욱 등, GVHD 환자에서 TCL 착용 후 발생한 하프니아 알베이에 의한 각막염 1예, ''JKOS'' 2012;53(8):1163-1166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8607 연결]</ref>.
국외에서 이 세균에 의한 안내염 사례가 일부 보고되었으며<ref>Ruiz-Moreno JM et al. Delayed-onset postop. endophthalmitis caused by Hafnia alvei. ''Eur J Ophthalmol''. 2001 Apr-Jun;11(2):189-92. [https://pubmed.ncbi.nlm.nih.gov/11456025/ 연결]</ref>, 국내에서는 이식편대숙주질환 환자에서 TCL 착용 후 발생한 각막염이 보고된 바가 있다<ref>박상욱 등, GVHD 환자에서 TCL 착용 후 발생한 하프니아 알베이에 의한 각막염 1예, ''JKOS'' 2012;53(8):1163-1166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8607 연결]</ref>.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