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추각막: 두 판 사이의 차이

183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5월 24일 (화)
잔글 (→‎역학)
53번째 줄: 53번째 줄:
=== [[각막 기질내 고리 삽입술]] ===
=== [[각막 기질내 고리 삽입술]] ===
각막 중심 반흔이 없으면서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기 힘들어하는 경도 혹은 중등도의 원추 각막 환자의 경우에 고려할 수 있따. 이 시술은 중심 각막을 편평하게 만들고 난시를 줄이며 원추를 중심으로 옮겨주어 시력을 개선시킨다. 이 시술의 목적은 콘택트 렌즈가 환자에게 더 잘 맞고 편안하도록 해주는 것이며, 안경 교정 시력도 향상될 수 있다. 수술 전에 적절한 환자 기대치를 설정하고 수술 후에 안경이나 콘택트 렌즈 착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설명해야 한다.
각막 중심 반흔이 없으면서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기 힘들어하는 경도 혹은 중등도의 원추 각막 환자의 경우에 고려할 수 있따. 이 시술은 중심 각막을 편평하게 만들고 난시를 줄이며 원추를 중심으로 옮겨주어 시력을 개선시킨다. 이 시술의 목적은 콘택트 렌즈가 환자에게 더 잘 맞고 편안하도록 해주는 것이며, 안경 교정 시력도 향상될 수 있다. 수술 전에 적절한 환자 기대치를 설정하고 수술 후에 안경이나 콘택트 렌즈 착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설명해야 한다.
=== [[각막 아교질 교차 결합|아교질 교차 결합]]===
=== [[각막 아교질 교차 결합|아교질 교차 결합]]<ref>Raiskup F et al. Corneal CXL w riboflavin and UV-A light in progressive KC : 10y results. ''JCRS''. 2015 Jan;41(1):41-6. [https://pubmed.ncbi.nlm.nih.gov/25532633/ 연결]</ref> ===


== 수술적 치료 ==
== 수술적 치료 ==
콘택트렌즈 착용이 어려운 경우에는 더 침습적인 각막 이식을 고려한다. 주로 [[전층 각막 이식]]이 시행되었지만 중등도 이하에는 [[표층 각막 이식]]을 시행하기도 한다. 이식편의 크기를 결정할 때는 원추의 기저에 있는 철고리를 기준으로 한다. 수술 후 발생하는 근시는 동일한 크기의 기증 안구와 수용안구 절편을 사용하여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수정체 전면에서 망막까지의 길이가 20.19mm 미만인 경우에는 이식 절편의 크기를 같게 해서는 안 된다.
콘택트렌즈 착용이 어려운 경우에는 더 침습적인 각막 이식을 고려한다. 주로 [[전층 각막 이식]]이 시행되었지만 중등도 이하에는 [[표층 각막 이식]]을 시행하기도 한다. 이식편의 크기를 결정할 때는 원추의 기저에 있는 철고리를 기준으로 한다. 수술 후 발생하는 근시는 동일한 크기의 기증 안구와 수용안구 절편을 사용하여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수정체 전면에서 망막까지의 길이가 20.19mm 미만인 경우에는 이식 절편의 크기를 같게 해서는 안 된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