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추각막: 두 판 사이의 차이

356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5월 24일 (화)
잔글
 
57번째 줄: 57번째 줄:
== 수술적 치료 ==
== 수술적 치료 ==
콘택트렌즈 착용이 어려운 경우에는 더 침습적인 각막 이식을 고려한다. 주로 [[전층 각막 이식]]이 시행되었지만 중등도 이하에는 [[표층 각막 이식]]을 시행하기도 한다. 이식편의 크기를 결정할 때는 원추의 기저에 있는 철고리를 기준으로 한다. 수술 후 발생하는 근시는 동일한 크기의 기증 안구와 수용안구 절편을 사용하여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수정체 전면에서 망막까지의 길이가 20.19mm 미만인 경우에는 이식 절편의 크기를 같게 해서는 안 된다.
콘택트렌즈 착용이 어려운 경우에는 더 침습적인 각막 이식을 고려한다. 주로 [[전층 각막 이식]]이 시행되었지만 중등도 이하에는 [[표층 각막 이식]]을 시행하기도 한다. 이식편의 크기를 결정할 때는 원추의 기저에 있는 철고리를 기준으로 한다. 수술 후 발생하는 근시는 동일한 크기의 기증 안구와 수용안구 절편을 사용하여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수정체 전면에서 망막까지의 길이가 20.19mm 미만인 경우에는 이식 절편의 크기를 같게 해서는 안 된다.
각막 이식의 경우 이식 실패, 또는 거부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어린 나이일수록 이러한 문제점의 빈도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ref>Vanathi M et al. Pediatric keratoplasty. ''Surv Ophthalmol''. 2009 Mar-Apr;54(2):245-71. [https://pubmed.ncbi.nlm.nih.gov/19298903/ 연결]</ref>.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