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네졸리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792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5월 31일 (화)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6번째 줄:


안구 내 사상판전 망막신경섬유층 (RNFL) 은 망막의 투명도를 유지하기 위해 무수신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무수신경은 신호 전달에 있어서
안구 내 사상판전 망막신경섬유층 (RNFL) 은 망막의 투명도를 유지하기 위해 무수신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무수신경은 신호 전달에 있어서
유수신경보다 속도가 느리므로 신호 전달에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며 이러한 에너지 공급을 위하여 미토콘드리아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ref>Wang L et al. Varicosities of intraretinal ganglion cell axons in human and nonhuman primates. ''IOVS''. 2003 Jan;44(1):2-9. [https://pubmed.ncbi.nlm.nih.gov/12506048/ 연결]</ref>. 따라서 미토콘드리아에 의한 세포 사멸을 야기하는 리네졸리드는 사상판전 RNFL에 손상을 주고 이차적으로 시신경병증을 일으키는 것이다
유수신경보다 속도가 느리므로 신호 전달에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며 이러한 에너지 공급을 위하여 미토콘드리아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ref>Wang L et al. Varicosities of intraretinal ganglion cell axons in human and nonhuman primates. ''IOVS''. 2003 Jan;44(1):2-9. [https://pubmed.ncbi.nlm.nih.gov/12506048/ 연결]</ref>. 따라서 미토콘드리아에 의한 세포 사멸을 야기하는 리네졸리드는 사상판전 RNFL에 손상을 주고 이차적으로 시신경병증을 일으키는 것이다.
== 주의 ==
리네졸리드의 사용 안정성은 28일 이전까지 인정을 받았다<ref>Perry CM et al. Linezolid : a review of its use in the management of serious gram-positive infections. ''Drugs''. 2001;61(4):525-51. [https://pubmed.ncbi.nlm.nih.gov/11324682/ 연결]</ref>. 따라서 28일 이상 사용 시 안정성에 대해 장담할 수 없고 장기간 약물을 사용해야 하는 결핵 치료에서 특히 시신경병증 유발 가능성에 대해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국내의 증례에서도 9개월 이상 리네졸리드를 사용한 환자에서 시신경병증이 발생하였다<ref>윤요셉 등, 리네졸리드 복용 후 발생한 시신경병증, ''JKOS''. 2019;60(12):1363-1368.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9668 연결]</ref>.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