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 압평 안압계: 두 판 사이의 차이

193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6월 1일 (수)
잔글
잔글 (→‎단점)
 
40번째 줄: 40번째 줄:
* 각막 난시 : 심한 경우에는 반원이 타원형으로 나타난다. 이중 프리즘을 수평으로 위치시키면 직난시에서는 실제 안압보다 낮게 측정되고 도난시에서는 높게 측정된다. 이 때의 오차는 매 4D마다 약 1mmHg 정도이다. 이와 같은 경우 반원의 경계선이 타원의 주경선과 45도를 이루도록 회전시켜서 측정하거나, 반원의 경계선을 수평과 수직으로 하여 각각 측정한 안압을 평균하면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 각막 난시 : 심한 경우에는 반원이 타원형으로 나타난다. 이중 프리즘을 수평으로 위치시키면 직난시에서는 실제 안압보다 낮게 측정되고 도난시에서는 높게 측정된다. 이 때의 오차는 매 4D마다 약 1mmHg 정도이다. 이와 같은 경우 반원의 경계선이 타원의 주경선과 45도를 이루도록 회전시켜서 측정하거나, 반원의 경계선을 수평과 수직으로 하여 각각 측정한 안압을 평균하면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 각막의 표면 : 불규칙하면 반원을 일그러뜨려서 정확한 안압을 측정하기가 어렵다.
* 각막의 표면 : 불규칙하면 반원을 일그러뜨려서 정확한 안압을 측정하기가 어렵다.
* 콘택트렌즈 (CL) : 마취약과 플루레신 염색약으로 인한 CL의 오염과 착색이 생길 수 있고 제거하더라도 각막 병변에 의해 정확한 측정이 어렵다.
== 동작 점검 (calibration) ==
== 동작 점검 (calibration) ==
가능한 매 진료 전에 점검하는 것이 좋지만 최소한 1~2개월에 한 번씩은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부속품인 균형봉과 그 지지대를 사용한다. 균형봉의 중앙 표지선이 0g이고 그보다 바깥 표시선이 2g, 가장 바깥 표시선이 6g을 나타낸다. 점검 시 이상잉 있으면 수리를 보내야 한다.
가능한 매 진료 전에 점검하는 것이 좋지만 최소한 1~2개월에 한 번씩은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부속품인 균형봉과 그 지지대를 사용한다. 균형봉의 중앙 표지선이 0g이고 그보다 바깥 표시선이 2g, 가장 바깥 표시선이 6g을 나타낸다. 점검 시 이상잉 있으면 수리를 보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