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시신경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41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6월 5일 (일)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8번째 줄: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초기에는 정맥이 확장되고 시신경 유두가 충혈되며 경계가 불분명해지고 생리적 유두 함몰도 잘 보이지 않게 된다. 유두 부종이 진행하면 시신경 유두가 융기되고 망막 부종이 주변으로 확장되며 망막에 면화반이나 선상 출혈이 동반되기도 한다.
초기에는 정맥이 확장되고 시신경 유두가 충혈되며 경계가 불분명해지고 생리적 유두 함몰도 잘 보이지 않게 된다. 유두 부종이 진행하면 시신경 유두가 융기되고 망막 부종이 주변으로 확장되며 망막에 면화반이나 선상 출혈이 동반되기도 한다.
== 진단 ==
원인을 모르는 유두 부종이 있는 환자의 경우 반드시 양쪽 팔에서 혈압을 측정하여야 한다. 때때로 심한 고혈압 환자에서 유두 부종이 유일하게 나타나는 소견일 수 있다.
== 치료 ==
== 치료 ==
혈압 조절이 유일하게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하지만 너무 급작스러운 혈압 하강은 시신경이나 다른 장기의 경색을 유발할 수 있어 피해야 한다. 급성기 혈압 강하 치료의 목표는 말단 기관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뇌병증, 심장 허혈, 폐 부종 또는 신부전 등의 증거가 없는 경우에는 24~48시간 동안 주의 깊게 결과를 관찰하면서 혈압을 서서히 떨어뜨려야 한다.
혈압 조절이 유일하게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하지만 너무 급작스러운 혈압 하강은 시신경이나 다른 장기의 경색을 유발할 수 있어 피해야 한다. 급성기 혈압 강하 치료의 목표는 말단 기관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뇌병증, 심장 허혈, 폐 부종 또는 신부전 등의 증거가 없는 경우에는 24~48시간 동안 주의 깊게 결과를 관찰하면서 혈압을 서서히 떨어뜨려야 한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