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뇌하수체졸중 (pituitary apoplexy)'''{{신경안과}} | '''뇌하수체졸중 (pituitary apoplexy)'''{{신경안과}} 은 뇌하수체 종양의 출혈 혹은 경색을 말한다. | ||
뇌하수체 종양 내부 또는 확장된 뇌하수체로의 급성 출혈은 시신경과 시신경 교차의 급성 압박 (시력 소실), 해면 정맥굴로의 파급 (안면부 통증, 복시), 뇌척수액 내로의 출혈 (두통, 경부 경직), 급성 내분비 이상 (어지럼, 저혈압, 심혈관 정지) 등을 유발한다. 통증성 눈운동 마비를 보일 수 있으며, 대개 동안 신경 마비 소견을 보인다. | 뇌하수체 종양 내부 또는 확장된 뇌하수체로의 급성 출혈은 시신경과 시신경 교차의 급성 압박 (시력 소실), 해면 정맥굴로의 파급 (안면부 통증, 복시), 뇌척수액 내로의 출혈 (두통, 경부 경직), 급성 내분비 이상 (어지럼, 저혈압, 심혈관 정지) 등을 유발한다. 통증성 눈운동 마비를 보일 수 있으며, 대개 동안 신경 마비 소견을 보인다. | ||
== 역학 == | |||
뇌 | 주로 성인에서 발생한다. | ||
== 진단 == | |||
갑작스러운 두통과 안과적 증상 (구심성이든 원심성이든) 이 동반될 경우에는 항상 뇌하수체졸중의 가능성을 반드시 염두에 둬야 한다. 검사로는 뇌 MRI가 필요하며 CT의 경우 출혈을 놓칠 수 있다. | |||
== 치료 == | |||
즉각적인 전신 스테로이드 투여 (예 : 6~7시간마다 IV hydrocortisone 100mg) 이며, 전해질 균형을 주의깊게 관찰해야 한다. 일부 환자는 보존적 치료로 회복되는 경우도 있으나 대개 수술적 감압이 필요하다. | |||
{{참고}} | {{참고}} | ||
[[분류:신경안과]] | [[분류:신경안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