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하수체졸중: 두 판 사이의 차이

919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6월 5일 (일)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역학)
 
4번째 줄: 4번째 줄:
== 역학 ==
== 역학 ==
주로 성인에서 발생한다.
주로 성인에서 발생한다.
== 유발 인자 ==
뇌하수체로의 저혈류 (저혈압 혹은 발살바 조작 등), 갑작스러운 혈류 증가 (악성 고혈압 등), 뇌하수체 자극 (임신 혹은 에스트로겐 치료), 경동맥 수술로 인한 색전과 응고 장애 (항응고제 혹은 혈전용해제 사용, 혈소판 감소증 등) 등이 있다.
== 임상 소견 ==
시력 저하는 한눈 또는 두눈에 모두 나타날 수 있으며 정도 또한 다양하다. 의식 저하 때문에 자세한 시력 검사를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시야 검사를 시헹하면 보통 양이측 반맹 소견이 나타난다. 눈근육 마비가 흔히 나타나며 주로 해면정맥굴 내의 눈운동 신경이 압박되어 나타난다. 한눈 혹은 두눈에 모두 나타날 수 있다. [[동안신경]]이 가장 흔하게 침범되며, 이 외에 [[외향신경]]과 [[활차신경]]도 침범될 수 있다.
== 진단 ==
== 진단 ==
갑작스러운 두통과 안과적 증상 (구심성이든 원심성이든) 이 동반될 경우에는 항상 뇌하수체졸중의 가능성을 반드시 염두에 둬야 한다. 검사로는 뇌 MRI가 필요하며 CT의 경우 출혈을 놓칠 수 있다.
갑작스러운 두통과 안과적 증상 (구심성이든 원심성이든) 이 동반될 경우에는 항상 뇌하수체졸중의 가능성을 반드시 염두에 둬야 한다. 검사로는 뇌 MRI가 필요하며 CT의 경우 출혈을 놓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