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수술과 더불어 방사선 치료를 주로 사용한다. 뇌를 침범한 수막종의 경우 종양 절제술이 표준 치료법으로 수술의 목적은 가능한 한 침범된 경막과 두개골을 포함하여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다. 종양의 완전 제거가 어렵거나 신경 손상의 위험이 큰 경우에는 일부 종양을 남기고 추가적인 방사선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 수술과 더불어 방사선 치료를 주로 사용한다. 뇌를 침범한 수막종의 경우 종양 절제술이 표준 치료법으로 수술의 목적은 가능한 한 침범된 경막과 두개골을 포함하여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다. 종양의 완전 제거가 어렵거나 신경 손상의 위험이 큰 경우에는 일부 종양을 남기고 추가적인 방사선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 ||
한편 대부분의 수막종은 성장이 느리기 때문에 크기가 작고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추적 관찰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증상이 경한 고령이나 동반 질환을 수반한 환자에서도 수술적 치료 대신 정기 검진과 영상 검사를 선택할 수 있다. 뇌수막종으로 인한 뇌압 상ㅅ응이나 시신경 압박에 의해 시력 저하가 있는 경우 압박 시간이 얼마만큼 지속되었는지가 수술 후 시력 회복을 예측하는 데 중요하다. 수술 전 OCT에서 시신경 유두 주변 망막 신경 섬유층 두께가 정상이라면 좀 더 나은 시력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 한편 대부분의 수막종은 성장이 느리기 때문에 크기가 작고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추적 관찰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증상이 경한 고령이나 동반 질환을 수반한 환자에서도 수술적 치료 대신 정기 검진과 영상 검사를 선택할 수 있다. 뇌수막종으로 인한 뇌압 상ㅅ응이나 시신경 압박에 의해 시력 저하가 있는 경우 압박 시간이 얼마만큼 지속되었는지가 수술 후 시력 회복을 예측하는 데 중요하다. 수술 전 OCT에서 시신경 유두 주변 망막 신경 섬유층 두께가 정상이라면 좀 더 나은 시력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ref>Park HH et al. Use of OCT to predict visual outcome in parachiasmal meningioma. ''J Neurosurg''. 2015 Dec;123(6):1489-99. [https://pubmed.ncbi.nlm.nih.gov/26162035/ 연결]</ref>. | ||
{{참고}} | {{참고}} | ||
[[분류:신경안과]] | [[분류:신경안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