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새 문서: 정상 동공은 빛에 대해 축소될 뿐만 아니라 근접 자극에도 축소되는 반응을 보인다. 따라서 대광 반사가 약해진 환자에서는 근접 반사에...)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 원인 == | == 원인 == | ||
동공의 구심성, 원심성 장애 모두에서 발생 가능하다. 원심성 장애인 [[아르길 로버트슨 동공]]의 주요 증상이며, 주로 신경 매독에서 보인다. 이외에도 슬상체앞 실명 (pregeniculate blindness), 압박성 혹은 침윤성 중뇌 병변, 동공의 부교감신경 손상 등에서도 발생한다. | 동공의 구심성, 원심성 장애 모두에서 발생 가능하다. 원심성 장애인 [[아르길 로버트슨 동공]]의 주요 증상이며, 주로 신경 매독에서 보인다. 이외에도 슬상체앞 실명 (pregeniculate blindness), 압박성 혹은 침윤성 중뇌 병변, 동공의 부교감신경 손상 등에서도 발생한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