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운동 눈떨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30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6월 15일 (수)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시운동 눈떨림 (optikinetic nystagmus; OKN) 은 일종의 시각 체위 반사로 원통형 줄무늬를 돌릴 때 움직이는 상을 지속적으로 망막 중심 오목에...)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시운동 눈떨림 (optikinetic nystagmus; OKN) 은 일종의 시각 체위 반사로 원통형 줄무늬를 돌릴 때 움직이는 상을 지속적으로 망막 중심 오목에 맺히게 하려는 반사에 의해서 나타난다. 저속기는 추종 운동을, 고속기는 신속 운동을 반영한다.
'''시운동 눈떨림 (optikinetic nystagmus; OKN)'''{{신경안과}} 은 일종의 시각 체위 반사로 원통형 줄무늬를 돌릴 때 움직이는 상을 지속적으로 망막 중심 오목에 맺히게 하려는 반사에 의해서 나타난다. 저속기는 추종 운동을, 고속기는 신속 운동을 반영한다.
== 병태 생리 ==
== 병태 생리 ==
수평 시운동 눈떨림 중추는 시삭 덮개앞핵과 부시각계의 배측 종말 신경핵이다.
수평 시운동 눈떨림 중추는 시삭 덮개앞핵과 부시각계의 배측 종말 신경핵이다.
5번째 줄: 5번째 줄:
영아 눈떨림에서 역 시운동 눈떨림 반응이 나타나며 영아기에 발생한 사시에서는 귀-코쪽과 코-귀쪽 시운동 눈떨림 반응이 비대칭이다.
영아 눈떨림에서 역 시운동 눈떨림 반응이 나타나며 영아기에 발생한 사시에서는 귀-코쪽과 코-귀쪽 시운동 눈떨림 반응이 비대칭이다.
== 검사 및 진단 ==
== 검사 및 진단 ==
* ENG : 메뉴에서 수평 혹은 수직 optokineticㅇ르 선택하고, 우선 표적 움직임에 환자를 적응시킨 후 검사를 시작한다. 이 때 환자에게 빛의 움직임을 끝까지 따라가게 하지 말고 가운데 지나가는 불빛만 보게 하는 것이 좋다.
* ENG : 메뉴에서 수평 혹은 수직 optokinetic을 선택하고, 우선 표적 움직임에 환자를 적응시킨 후 검사를 시작한다. 이 때 환자에게 빛의 움직임을 끝까지 따라가게 하지 말고 가운데 지나가는 불빛만 보게 하는 것이 좋다.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