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 땅방향 눈떨림 : 고개를 옆으로 돌릴 때, 지면을 향하는 눈떨림이 후반고리관 BPPV 에서와 마찬가지로 약간의 잠복기를 두고 나타나서 1분 이내로 지속된다. 일반적으로 병변 쪽으로 고개를 돌릴 때 눈떨림 및 현기증이 더 강하게 유발된다. 변성된 이석 부스러기가 수평 반고리관으로 들어가 내림프액 사이를 떠다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 땅방향 눈떨림 : 고개를 옆으로 돌릴 때, 지면을 향하는 눈떨림이 후반고리관 BPPV 에서와 마찬가지로 약간의 잠복기를 두고 나타나서 1분 이내로 지속된다. 일반적으로 병변 쪽으로 고개를 돌릴 때 눈떨림 및 현기증이 더 강하게 유발된다. 변성된 이석 부스러기가 수평 반고리관으로 들어가 내림프액 사이를 떠다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
** 하늘방향 눈떨림 : 고개를 옆으로 돌릴 때, 하늘을 향하는 수평 눈떨림이 관찰된다. 잠복기 없이 발생하며, 고개를 돌리고 있는 동안에는 지속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석 부스러기가 수평 반고리관의 팽대마루에 달라붙어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 ** 하늘방향 눈떨림 : 고개를 옆으로 돌릴 때, 하늘을 향하는 수평 눈떨림이 관찰된다. 잠복기 없이 발생하며, 고개를 돌리고 있는 동안에는 지속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석 부스러기가 수평 반고리관의 팽대마루에 달라붙어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 ||
* 전반고리관성 BPPV : Hallpike 검사에서 회선성 하향 눈떨림이 관찰되나, 회선 성분의 방향과 병변쪽 귀 부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