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수술적 치료) |
잔글 (→비수술적 치료)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또한 SJS에서 결막 세균총의 변화와 연관되어 감염 각막염의 빈도가 증가하는데<ref>Frizon L et al. Evaluation of conjunctival bacterial flora in patients w SJS. ''Clinics (Sao Paulo)''. 2014 Mar;69(3):168-72. [https://pubmed.ncbi.nlm.nih.gov/24626941/ 연결]</ref> 이는 결과적으로 각막의 궤양을 거쳐 천공을 초래할 수 있다<ref>Sachdev R et al. Bilateral microbial keratitis in 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induced SJS and TEN : a case series. ''Ocul Immunol Inflamm''. 2011 Oct;19(5):343-5. [https://pubmed.ncbi.nlm.nih.gov/21834698/ 연결]</ref>. | 또한 SJS에서 결막 세균총의 변화와 연관되어 감염 각막염의 빈도가 증가하는데<ref>Frizon L et al. Evaluation of conjunctival bacterial flora in patients w SJS. ''Clinics (Sao Paulo)''. 2014 Mar;69(3):168-72. [https://pubmed.ncbi.nlm.nih.gov/24626941/ 연결]</ref> 이는 결과적으로 각막의 궤양을 거쳐 천공을 초래할 수 있다<ref>Sachdev R et al. Bilateral microbial keratitis in 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induced SJS and TEN : a case series. ''Ocul Immunol Inflamm''. 2011 Oct;19(5):343-5. [https://pubmed.ncbi.nlm.nih.gov/21834698/ 연결]</ref>. | ||
== | == 약물 치료 == | ||
초기 안과적 치료로 인공 눈물, 항염증제 그리고 필요한 경우 항생제를 사용한다. 만성기의 치료는 염증을 최소화하면서 안구 표면의 건강을 최대화하는데 있다. 건조증은 눈물점 마개와 보존제가 없는 인공 눈물을 사용하여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하며, 눈꺼풀 이상은 안구 표면에 손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교정해야 한다. | 초기 안과적 치료로 인공 눈물, 항염증제 그리고 필요한 경우 항생제를 사용한다. 만성기의 치료는 염증을 최소화하면서 안구 표면의 건강을 최대화하는데 있다. 건조증은 눈물점 마개와 보존제가 없는 인공 눈물을 사용하여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하며, 눈꺼풀 이상은 안구 표면에 손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교정해야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