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치아 인공 각막: 두 판 사이의 차이

27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6월 21일 (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골-치아 인공 각막 (osteo-odonto-keratoprosthesis; OOKP) 은 1960년대 Strampelli이 이탈리아에서 처음 사용했으며, 이후 Falcinelli가 이를 변형했다. 환자...)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골-치아 인공 각막 (osteo-odonto-keratoprosthesis; OOKP) 은 1960년대 Strampelli이 이탈리아에서 처음 사용했으며, 이후 Falcinelli가 이를 변형했다. 환자 본인의 치조골에 싸인 치아로 고안된 판에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재질의 광학용 원기둥을 위치시킨 구조이며, 강한 구강 점막이나 다른 생체막으로 덮는다.
'''골-치아 인공 각막 (osteo-odonto-keratoprosthesis; OOKP)'''{{각막}} 은 1960년대 Strampelli이 이탈리아에서 처음 사용했으며, 이후 Falcinelli가 이를 변형했다. 환자 본인의 치조골에 싸인 치아로 고안된 판에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재질의 광학용 원기둥을 위치시킨 구조이며, 강한 구강 점막이나 다른 생체막으로 덮는다.
== 장점 ==
== 장점 ==
비생체막으로 지지하는 [[보스톤 인공 각막]]과 비교하여 각질화된 환경이나 건성안에서 노출되는 비율이 낮다.
비생체막으로 지지하는 [[보스톤 인공 각막]]과 비교하여 각질화된 환경이나 건성안에서 노출되는 비율이 낮다.
7번째 줄: 7번째 줄:
* 심각한 화학 화상
* 심각한 화학 화상
* 심한 점막 유사 천포창에 의해 거의 실명에 이른 반흔 결막염 환자
* 심한 점막 유사 천포창에 의해 거의 실명에 이른 반흔 결막염 환자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