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Smile님이 군날개의 수술적 치료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군날개/수술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군날개]]의 치료는 최근 수술적 제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수술은 재발과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수술은 현재 간단하게는 공막 노출법 부터 복잡하게는 표층 각막 이식술이나 양막 이식술까지 다양하게 시행된다. 다양한 치료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불완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재발은 군날개 수술 후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실패의 이유이며, 재발률은 0~89%까지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게다가 부가적인 수술은 잠재적 실명을 야기하며, 이러한 치료법과 연관된 장기적인 합병증은 많은 논란을 야기하고 있다. | {{각막}}[[군날개]]의 치료는 최근 수술적 제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수술은 재발과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수술은 현재 간단하게는 공막 노출법 부터 복잡하게는 표층 각막 이식술이나 양막 이식술까지 다양하게 시행된다. 다양한 치료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불완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재발은 군날개 수술 후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실패의 이유이며, 재발률은 0~89%까지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게다가 부가적인 수술은 잠재적 실명을 야기하며, 이러한 치료법과 연관된 장기적인 합병증은 많은 논란을 야기하고 있다. | ||
== 공막 노출법 == | == 공막 노출법 == | ||
1948년 D'Ombrain이 [[군날개]]의 두부와 체부를 비측 안쪽 눈구석까지 절제하고 공막 부분은 노출된 채 남겨 재상피화되게 하는 방법을 처음 기술했다. 이는 지금도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span style='color:blue;'>재발을 막지 못하며</span> 아주 작은 원발 군날개의 경우 외에는 시행되지 않는다. 요즘은 수술적 대조군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 방법은 현재 더 발전된 방법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24~89%의 재발률을 보이고 있다. 재발 양상은 심각하여, 심한 경우는 원 병소를 넘어 눈꺼풀 유착, 안구 운동 장애, 복시 등을 유발한다. 또한 적절한 치료법이 아직 없는 공막 괴사와 감염 공막염이 합병증으로 발생한다. 그러나 절제는 언제나 군날개 수술의 첫 번째 단계이므로 합병증과 재발을 줄이기 위한 적절한 수술 치료 방법이 요구된다. | 1948년 D'Ombrain이 [[군날개]]의 두부와 체부를 비측 안쪽 눈구석까지 절제하고 공막 부분은 노출된 채 남겨 재상피화되게 하는 방법을 처음 기술했다. 이는 지금도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span style='color:blue;'>재발을 막지 못하며</span> 아주 작은 원발 군날개의 경우 외에는 시행되지 않는다. 요즘은 수술적 대조군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 방법은 현재 더 발전된 방법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24~89%의 재발률을 보이고 있다. 재발 양상은 심각하여, 심한 경우는 원 병소를 넘어 눈꺼풀 유착, 안구 운동 장애, 복시 등을 유발한다. 또한 적절한 치료법이 아직 없는 공막 괴사와 감염 공막염이 합병증으로 발생한다. 그러나 절제는 언제나 군날개 수술의 첫 번째 단계이므로 합병증과 재발을 줄이기 위한 적절한 수술 치료 방법이 요구된다.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 수술 후 공막염 == | == 수술 후 공막염 == | ||
군날개 수술 후 감염은 드물게 나타나며, 대개 [[미토마이신 씨|mitomycin C]] 투여나 β방사선 조사와 연관 있다. 이런 추가 필요 없이 <span style='color:blue;'>공막 노출법</span>으로 수술한 후 감염 공막염이 발생한 예도 보고되어 있다. 흥미롭게도 수술에 의해 발생한 괴사 공막염과 유사하게 <span style='color:blue;'>1~36년의 긴 잠복기</span>를 가진다. 환자에게는 통증, 충혈, 공막 괴사, 화농 분비물이 나타난다. <span style='color:blue;'><i>P. aeruginosa</i></span>는 수술 후 발생하는 감염 공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다. 다른 원인균으로는 S.pneumoniae, MRSA 등이 있다. | 군날개 수술 후 감염은 드물게 나타나며, 대개 [[미토마이신 씨|mitomycin C]] 투여나 β방사선 조사와 연관 있다. 이런 추가 필요 없이 <span style='color:blue;'>공막 노출법</span>으로 수술한 후 감염 공막염이 발생한 예도 보고되어 있다. 흥미롭게도 수술에 의해 발생한 괴사 공막염과 유사하게 <span style='color:blue;'>1~36년의 긴 잠복기</span>를 가진다. 환자에게는 통증, 충혈, 공막 괴사, 화농 분비물이 나타난다. <span style='color:blue;'><i>P. aeruginosa</i></span>는 수술 후 발생하는 감염 공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다. 다른 원인균으로는 S.pneumoniae, MRSA 등이 있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