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2세대 렌즈를 더욱 개선한 NuVita 렌즈 (Bausch&Lomb) 가 1990년대 초까지 유럽에서 시술되었으나 동공 일그러짐과 내피세포 손상이 많이 보고되었다<ref>Allemann N et al. Myopic angle-supported IOLs : 2y FU. ''Ophthalmology''. 2000 Aug;107(8):1549-54. [https://pubmed.ncbi.nlm.nih.gov/10919906/ 연결]</ref>. | 2세대 렌즈를 더욱 개선한 NuVita 렌즈 (Bausch&Lomb) 가 1990년대 초까지 유럽에서 시술되었으나 동공 일그러짐과 내피세포 손상이 많이 보고되었다<ref>Allemann N et al. Myopic angle-supported IOLs : 2y FU. ''Ophthalmology''. 2000 Aug;107(8):1549-54. [https://pubmed.ncbi.nlm.nih.gov/10919906/ 연결]</ref>. | ||
국내에서는 NuVita 렌즈<ref>김성훈 등, 고도 근시에 시행한 전방 인공수정체 (Nuvita lens) 삽입술 후 1년간의 임상 성적, ''JKOS'' 2001;42(12):1721-1728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4892 연결]</ref>와 그 이후 세대인 Phakic 6 렌즈<ref>장보현 등, 유수정체용 전방 인공수정체 삽입술의 임상 결과, ''JKOS'' 2006;47(1):31-36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6449 연결]</ref>에 대한 단기 관찰 결과가 좋다고 보고되었으나 2년 이상의 결과는 보고되지 | 국내에서는 NuVita 렌즈<ref>김성훈 등, 고도 근시에 시행한 전방 인공수정체 (Nuvita lens) 삽입술 후 1년간의 임상 성적, ''JKOS'' 2001;42(12):1721-1728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4892 연결]</ref>와 그 이후 세대인 Phakic 6 렌즈<ref>장보현 등, 유수정체용 전방 인공수정체 삽입술의 임상 결과, ''JKOS'' 2006;47(1):31-36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6449 연결]</ref>에 대한 단기 관찰 결과가 좋다고 보고되었으나 2년 이상의 결과는 보고되지 않았다. 하지만 새로운 세대의 Vivarte (IOL Tech), NewLife (IOL Tech) 렌즈들도 내피세포가 지속적으로 소실되어 많은 경우에서 제거되었고 프랑스에서는 사용이 금지되었다. | ||
최근 개발된 접이형 일체 전방각 지지 인공수정체인 AcrySof Phakic IOL (Alcon) 이 3년간 1% 정도의 내피세포 소실을 보여 좋은 결과를 얻었다고 보고되었으며<ref>Knorz MC et al. Angle-supported phakic IOL for correction of moderate to high myopia : 3y interim results in international multicenter studies. ''JCRS''. 2011 Mar;37(3):469-80. [https://pubmed.ncbi.nlm.nih.gov/21333871/ 연결]</ref>, 이후 장기 관찰이 필요하다. | 최근 개발된 접이형 일체 전방각 지지 인공수정체인 AcrySof Phakic IOL (Alcon) 이 3년간 1% 정도의 내피세포 소실을 보여 좋은 결과를 얻었다고 보고되었으며<ref>Knorz MC et al. Angle-supported phakic IOL for correction of moderate to high myopia : 3y interim results in international multicenter studies. ''JCRS''. 2011 Mar;37(3):469-80. [https://pubmed.ncbi.nlm.nih.gov/21333871/ 연결]</ref>, 이후 장기 관찰이 필요하다.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합병증 == | == 합병증 == | ||
* 안압 상승 : 잔류 점탄 물질, 스테로이드, 동공 차단 등에 의해 발생한다. | * 안압 상승 : 잔류 점탄 물질, 스테로이드, 동공 차단 등에 의해 발생한다. | ||
* 안내 염증 : 전체 직경이 큰 렌즈를 사용하여 섬모체에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으로 알려져 | * 안내 염증 : 전체 직경이 큰 렌즈를 사용하여 섬모체에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ref>Eloy R et al. In vitro evaluation of inflammatory cell response after CF<sub>4</sub> plasma surface modification of PMMA IOLs. ''JCRS''. 1993 May;19(3):364-70. [https://pubmed.ncbi.nlm.nih.gov/8388951/ 연결]</ref>. 전방각에 위치한 지지부에 의해 [[혈액-방수 장벽]]이 파괴되어 만성 포도막염이 발생할 수도 있다. 만성 염증이 지속되면 홍채 유착, 녹내장, 백내장을 유발할 수 있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