푹스 각막 내피 이상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452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6월 26일 (일)
잔글
25번째 줄: 25번째 줄:
== 수술적 치료 ==
== 수술적 치료 ==
각막 이식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흔하다. <span style='color:blue;'>각막 이식의 예후가 좋은 편</span>이며, 최근에는 내피 이식술을 시행하기에 가장 좋은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각막 이식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흔하다. <span style='color:blue;'>각막 이식의 예후가 좋은 편</span>이며, 최근에는 내피 이식술을 시행하기에 가장 좋은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 [[전층 각막이식]] :  높은 해부학적 성공률을 보이기 때문에 과거에는 주요한 치료법이었으나, 시력 회복을 이루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며, 술 후 발생하는 고도 및 불규칙 난시와 봉합사 관련 합병증 등이 문제가 되었다<ref>Pineros O et al. Long-term results after PKP for FED. ''Arch Ophthalmol''. 1996 Jan;114(1):15-8. [https://pubmed.ncbi.nlm.nih.gov/8540845/ 연결]</ref>.
== 각막 부전의 가능성 ==
== 각막 부전의 가능성 ==
각막 구타타가 있는 환자들의 경우 경면 현미경 검사에서 각막 내피 세포가 500/mm²미만이거나 중심 각막 두께가 640㎛ 이상이면 백내장 수술 후 각막 부전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개인마다 중심 각막 두께가 다르므로 중간 주변부의 각막 두께에 비해 중심 각막 두께가 더 두꺼운 경우를 기준으로 삼기도 한다.
각막 구타타가 있는 환자들의 경우 경면 현미경 검사에서 각막 내피 세포가 500/mm²미만이거나 중심 각막 두께가 640㎛ 이상이면 백내장 수술 후 각막 부전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개인마다 중심 각막 두께가 다르므로 중간 주변부의 각막 두께에 비해 중심 각막 두께가 더 두꺼운 경우를 기준으로 삼기도 한다.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