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메막 박리술: 두 판 사이의 차이

881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6월 26일 (일)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0번째 줄: 10번째 줄:
== 예후 인자 ==
== 예후 인자 ==
Borkar 등<ref>Borkar DS et al. Treatment of FED by DWEK. ''Cornea''. 2016 Oct;35(10):1267-73. [https://pubmed.ncbi.nlm.nih.gov/27310885/ 연결]</ref>은 [[푹스 각막 내피 이상증]]이 있는 13안을 대상으로 DSO를 시행하였고 10안에서 [[각막 내피세포]]의 회복을 확인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DSO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인자로 데스메막 박리 크기, 환자군 선정, 유전적 인자, 당뇨, 흡연 등을 제시하였다. 그중 지름 4mm보다 데스메막을 크게 박리할 경우 재생되어야 할 각막 내피의 면적이 넓어지면서 DSO 성공률이 떨어질 수 있고, 중심 각막 두께가 625㎛ 이상의 환자에서 DSO를 실시할 경우 회복 속도가 느려질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Borkar 등<ref>Borkar DS et al. Treatment of FED by DWEK. ''Cornea''. 2016 Oct;35(10):1267-73. [https://pubmed.ncbi.nlm.nih.gov/27310885/ 연결]</ref>은 [[푹스 각막 내피 이상증]]이 있는 13안을 대상으로 DSO를 시행하였고 10안에서 [[각막 내피세포]]의 회복을 확인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DSO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인자로 데스메막 박리 크기, 환자군 선정, 유전적 인자, 당뇨, 흡연 등을 제시하였다. 그중 지름 4mm보다 데스메막을 크게 박리할 경우 재생되어야 할 각막 내피의 면적이 넓어지면서 DSO 성공률이 떨어질 수 있고, 중심 각막 두께가 625㎛ 이상의 환자에서 DSO를 실시할 경우 회복 속도가 느려질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 [[데스메막 내피 이식술|DMEK]]과의 비교 ==
2018년도에는 Huang 등<ref>Huang MJ et al. DWEK vs DMEK for Treatment of FED. ''Cornea''. 2018 Dec;37(12):1479-1483. [https://pubmed.ncbi.nlm.nih.gov/30222714/ 연결]</ref>이 푹스 각막 이상증을 진단받은 27안을 대상으로 DMEK를 시행한 15안과 DSO를 시행한 12안을 비교 분석한 결과, 두 군 간의 최종 시력에는 유효한 차이가 없었으나 DMEK를 시행한 군이 DSO를 시행한 군보다 빠르게 시력이 회복됨을 밝혔다. 또한, 각막이식을 시행한 군에서는 안압 상승, 전방 염증, 공여 각막편 이탈 등의 합병증이 약 53%에서 발생하였으나, DSO를 시행한 군에서는 부작용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보고 하였다. 하지만 6~8개월간의 단기간 연구로 장기간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