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부 층판 각막 이식: 두 판 사이의 차이

13 바이트 제거됨 ,  2022년 6월 28일 (화)
잔글
(새 문서: '''전부 층판 각막 이식 (anterior lamellar keratoplasty, ALK)''' 은 표층 각막 이식이라고도 한다. == 분류 == === 시술 목적에 따라 === * 광학적 (optical)...)
 
10번째 줄: 10번째 줄:
== 합병증 ==
== 합병증 ==
=== 수술 중 ===
=== 수술 중 ===
==== 각막 천공 ====
* 각막 천공 : 심부 표층 각막 이식에서 가장 흔한 합병증이다26. 데스메막만 남아 있는 부위에 천공이 생기면 일반적으로는 균열이 퍼지기 때문에 더 이상 절제하지 않고 이식편을 봉합한다. 봉합 시에도 천공이 생길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수용자 쪽으로 실을 통과시킬 때 너무 깊게 봉합되지 않도록 조심한다. 천공 시 수술을 진행할 것이냐 PKP로 바꿀 것이냐의 문제는 천공의 부위와 크기에 달려 있다. 천공의 크기가 1mm 이하이고 동공 영역에 없으며 전방이 유지되면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27. 이 때 천공 부위의 조작은 맨 마지막으로 하며 layer-by-layer로 천공이 커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심부 표층 각막 이식술은 수술 방법 중 하나로서 PKP로 전환했다고 해서 수술 자체가 실패한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므로 수술 전에 환자에게 PKP로 할 수 있음을 알리고 충분히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심부 표층 각막 이식에서 가장 흔한 합병증이다26. 데스메막만 남아 있는 부위에 천공이 생기면 일반적으로는 균열이 퍼지기 때문에 더 이상 절제하지 않고 이식편을 봉합한다. 봉합 시에도 천공이 생길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수용자 쪽으로 실을 통과시킬 때 너무 깊게 봉합되지 않도록 조심한다.  
* 출혈 : 감염 후 혼탁과 같은 증례에서는 심부 실질에 혈관이 있는 경우 출혈이 생길 수 있다.


천공 시 수술을 진행할 것이냐 PKP로 바꿀 것이냐의 문제는 천공의 부위와 크기에 달려 있다. 천공의 크기가 1mm 이하이고 동공 영역에 없으며 전방이 유지되면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27. 이 때 천공 부위의 조작은 맨 마지막으로 하며 layer-by-layer로 천공이 커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심부 표층 각막 이식술은 수술 방법 중 하나로서 PKP로 전환했다고 해서 수술 자체가 실패한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므로 수술 전에 환자에게 PKP로 할 수 있음을 알리고 충분히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 출혈 ====
감염 후 혼탁과 같은 증례에서는 심부 실질에 혈관이 있는 경우 출혈이 생길 수 있다.
=== 수술 후 ===
=== 수술 후 ===
==== 이중 전방 ====
==== 이중 전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