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3기 매독 혹은 만기 매독은 첫 감염 후 대략 3~15년 지나서 나타난다. | 3기 매독 혹은 만기 매독은 첫 감염 후 대략 3~15년 지나서 나타난다. | ||
* 양성 3기 매독 : 고무종 (gumma) 매독이라고도 부르며, 초기 감염으로부터 평균 15년 후에 발생한다. 다양한크기의 부드러운 염증성 구형 종괴로 피부, 뼈, 간을 잘 침범한다. | * 양성 3기 매독 : 고무종 (gumma) 매독이라고도 부르며, 초기 감염으로부터 평균 15년 후에 발생한다. 다양한크기의 부드러운 염증성 구형 종괴로 피부, 뼈, 간을 잘 침범한다. | ||
* 신경 매독 : 중추신경계를 침범한 매독이다. 처음에는 무증상 혹은 매독성 뇌수막염의 양상을 보이고 진행하면서 전신 마비나 척수 매독 (tabes dorsalis) 등으로 나타난다. [[아르길 | * 신경 매독 : 중추신경계를 침범한 매독이다. 처음에는 무증상 혹은 매독성 뇌수막염의 양상을 보이고 진행하면서 전신 마비나 척수 매독 (tabes dorsalis) 등으로 나타난다. [[아르길 로버트슨 동공]]은 전형적인 신경 매독에서의 동공 반응으로 동공 크기가 비대칭이며 불규칙적이고 축동되어 잇으며 동공 대광-근접 반사 해리가 발생한다. 안구 운동 신경과 시신경은 초기 신경 매독 단계에서 영향을 잘 받는다. | ||
* 심혈관 매독 : 매독이 심혈관을 침범하는 경우로, 가장 흔한 합병증은 매독성 대동맥염으로 동맥류를 형성하게 된다. | * 심혈관 매독 : 매독이 심혈관을 침범하는 경우로, 가장 흔한 합병증은 매독성 대동맥염으로 동맥류를 형성하게 된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