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감염)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 감염 == | == 감염 == | ||
성 접촉이 주된 일차 감염 경로로 감염 환자와 성 접촉을 가진 사람의 50~75%가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임신 초기 (10주경) 태반을 통해 산모에서 태아로도 전염이 가능하며 이를 선천 매독이라 부른다. | 성 접촉이 주된 일차 감염 경로로 감염 환자와 성 접촉을 가진 사람의 50~75%가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임신 초기 (10주경) 태반을 통해 산모에서 태아로도 전염이 가능하며 이를 선천 매독이라 부른다. | ||
''T. pallidum'' 병원체가 점막을 뚫고 들어간 후 혈관과 림프관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고, 침범된 장기의 혈관 주위로 만성 육아종성 염증이 관찰될 수 있는데 이러한 염증과 면역 반응이 매독의 특징적인 조직 파괴를 발생시킨다. 병원체의 대부분은 옵소닌화와 대식세포의 탐식 작용에 의해 제거되지만 면역 반응에도 불구하고 병원체의 파종이 일어날 수 있으며 치료를 하지 않는다면 병원체는 체내에 수십년간 머물며 전염과 장기 손상을 일으킨다<ref>Peeling RW et al. The pathogenesis of syphilis : the Great Mimicker, revisited. ''J Pathol''. 2006 Jan;208(2):224-32. [https://pubmed.ncbi.nlm.nih.gov/16362988/ 연결]</ref>. | |||
== 역학 == | == 역학 == | ||
1999년 한 보고에 의하면 전세계적으로 1,200만명이 감염되었고 그 중 90%가 개발도상국가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2. 서구 사회에서 1980년대에 항생제의 보급으로 감소하였다가 2000년대 들어 많은 국가에서 동성애자들 사이에서 감염률이 증가하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영국에서는 1999~2008년 사이 매독 발병률이 1,032% 증가하였으며, 2007년에는 3,762명의 새 환자가 발생하였다3. 또 다른 한 보고에서는 2004년 한 해 동안 매독 눈병증이 지난 10년 동안 평균치보다 2배 증가했다고 하였다4. 미국의 한 보고에서도 1,2차 매독은 2005년에서 2013년까지 10만명 당 2.1→5.3명 으로 2배 이상 증가하였다5. | 1999년 한 보고에 의하면 전세계적으로 1,200만명이 감염되었고 그 중 90%가 개발도상국가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2. 서구 사회에서 1980년대에 항생제의 보급으로 감소하였다가 2000년대 들어 많은 국가에서 동성애자들 사이에서 감염률이 증가하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영국에서는 1999~2008년 사이 매독 발병률이 1,032% 증가하였으며, 2007년에는 3,762명의 새 환자가 발생하였다3. 또 다른 한 보고에서는 2004년 한 해 동안 매독 눈병증이 지난 10년 동안 평균치보다 2배 증가했다고 하였다4. 미국의 한 보고에서도 1,2차 매독은 2005년에서 2013년까지 10만명 당 2.1→5.3명 으로 2배 이상 증가하였다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