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임상 소견) |
잔글 (→치료)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심혈관 매독 : 매독이 심혈관을 침범하는 경우로, 가장 흔한 합병증은 매독성 대동맥염으로 동맥류를 형성하게 된다. | * 심혈관 매독 : 매독이 심혈관을 침범하는 경우로, 가장 흔한 합병증은 매독성 대동맥염으로 동맥류를 형성하게 된다. | ||
== 치료 == | == 치료 == | ||
매독 환자의 치료는 가장 최근의 치료법을 참고하여야 하며, 감염학 전문의의 도움을 받는 것이 유용하다. 매독이 초기에 발견되어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받는다면 대부분은 치료된다. 초기에 진단되지 않고 부적절하게 치료받는다면 1/3 환자에서 3차 매독으로 진행하여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며 생명에 위협을 줄 수도 있다. | |||
=== 페니실린 G === | |||
매독의 모든 단계에서 선호되며 용량, 주입 경로, 치료 기간, 치료 약제의 선택은 매독의 단계와 발현된 임상양상에 따라 결정된다. 2.4백만 단위 (million units, MU) benzathine penicillin G의 일회 근육 주사가 1,2기 및 초기의 잠복 매독 환장세ㅓ 추천된다. 만기 잠복 매독에서 감염 기간을 알 수 없을 때, 신경 매독이 아닌 3기 매독의 경우 총 7.2 MU benzathine penicillin G가 주사되며 2.4 MU의 근육 주사를 1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투여한다. 신경 매독의 치료는 수용성 페니실린 G를 하루에 18~24 MU 정맥 주사로 투여하는 것이다. 4시간마다 3~4 MU를 10~14일에 걸쳐 투여한다. 뇌척수액 검사는 매 6개월마다 시행한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