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 출혈: 두 판 사이의 차이

4 바이트 제거됨 ,  2022년 7월 8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전방 출혈 (hyphema)
'''전방 출혈 (hyphema)'''{{각막}}
"
== 원인 ==
== 원인 ==
안구가 둔상을 받으면 전방 출혈을 일으킬 수 있으며, 그 외에 [[홍채 혈관신생]], 홍채 흑색종, 포도막염, 혈액 응고 이상 질환, 항응고제, 백혈병, [[망막모세포종]], 소아 황색 육아종 등이 있다.
안구가 둔상을 받으면 전방 출혈을 일으킬 수 있으며, 그 외에 [[홍채 혈관신생]], 홍채 흑색종, 포도막염, 혈액 응고 이상 질환, 항응고제, 백혈병, [[망막모세포종]], 소아 황색 육아종 등이 있다.
21번째 줄: 20번째 줄:
== 겸상 적혈구증 환자 ==
== 겸상 적혈구증 환자 ==
겸상 적혈구증 환자는 외상성 전방 출혈 후 안압 상승과 시신경의 손상이 올 수 있는 가능성이 많은데 전방내 비정상적인 적혈구가 겸상 변형을 일으켜 섬유주를 통과하는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더욱이 혈관 내에 겸상 적혈구들이 시신경으로의 혈류 장애를 일으켜 신경 손상이 더 쉽게 일어난다는 주장도 있다. 따라서 더욱 철저하고 적극적인 치료가 요구되는데, [[고삼투압 약제]], [[아세타졸라미드]] 등에 역효과를 일으키기도 한다. 그러나 [[베타 차단제]], [[메타졸라미드]]에는 잘 듣는 편이다. 겸상 적혈구증 환자에서 전방 출혈 시 24시간 이상 안압이 25 mmHg 이거나 갑자기 30 mmHg 이상 될 때는 수술이 필요하다.
겸상 적혈구증 환자는 외상성 전방 출혈 후 안압 상승과 시신경의 손상이 올 수 있는 가능성이 많은데 전방내 비정상적인 적혈구가 겸상 변형을 일으켜 섬유주를 통과하는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더욱이 혈관 내에 겸상 적혈구들이 시신경으로의 혈류 장애를 일으켜 신경 손상이 더 쉽게 일어난다는 주장도 있다. 따라서 더욱 철저하고 적극적인 치료가 요구되는데, [[고삼투압 약제]], [[아세타졸라미드]] 등에 역효과를 일으키기도 한다. 그러나 [[베타 차단제]], [[메타졸라미드]]에는 잘 듣는 편이다. 겸상 적혈구증 환자에서 전방 출혈 시 24시간 이상 안압이 25 mmHg 이거나 갑자기 30 mmHg 이상 될 때는 수술이 필요하다.
[[분류:각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