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리엔 각막 가장자리 변성: 두 판 사이의 차이

264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7월 8일 (금)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역사)
1번째 줄: 1번째 줄:
'''테리엔 각막 가장자리 변성 (Terrien's marginal corneal degeneration)'''{{각막}} 은 종종 변성 종류에 포함되는 주변부 염증 질환이다.
'''테리엔 각막 가장자리 변성 (Terrien's marginal corneal degeneration)'''{{각막}} 은 종종 변성 종류에 포함되는 주변부 염증 질환이다.
== 역사 ==
== 역사 ==
1881년 Trumpy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으며, 1900년 Terrien에 의해 'ectatic marginal dystrophy' 라고 명명되었다. 세계적으로는 문헌 보고가 200례 이하이며 국내에서는 2003년 김 등<ref>김도현 등, 테리엔 변연 변성의 장기 결과 고찰, ''JKOS'' 2003;44(3):572-580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5414 연결]</ref>이 22안을 대상으로 장기 경과를 관찰한 보고가 있으며, 최 등<ref>최용석 등, 테리엔 변연 각막 변성 환자에서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한 주변부 각막 천공 1예, ''JKOS'' 2000;41(2):535-538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4452 연결]</ref>은 백내장 수술 후 각막 천공이 발생한 증례를 보고한 바 있다. 그 밖에 다른 안과적 질환과 동반된 6~7예의 보고가 있었다.
1881년 Trumpy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으며, 1900년 Terrien<ref>Terrien M. Ectatic marginal dystrophy. ''Arch Ophthalmol'' 1900;20;12.</ref>에 의해 'ectatic marginal dystrophy' 라고 명명되었고, 1936년 Francois<ref>Francois J. La degenerescence marginale de la Cornee. ''Arch
Ophthalmol'' 1936;53:432, 540, 612.</ref>에 의해 임상 및 조직학적으로 분류되었다.
 
세계적으로는 문헌 보고가 200례 이하이며 국내에서는 2003년 김 등<ref>김도현 등, 테리엔 변연 변성의 장기 결과 고찰, ''JKOS'' 2003;44(3):572-580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5414 연결]</ref>이 22안을 대상으로 장기 경과를 관찰한 보고가 있으며, 최 등<ref>최용석 등, 테리엔 변연 각막 변성 환자에서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한 주변부 각막 천공 1예, ''JKOS'' 2000;41(2):535-538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4452 연결]</ref>은 백내장 수술 후 각막 천공이 발생한 증례를 보고한 바 있다. 그 밖에 다른 안과적 질환과 동반된 6~7예의 보고가 있었다.
 
== 역학 ==
== 역학 ==
<span style='color:blue;'>20~40세</span>에 호발하고 <span style='color:blue;'>남성</span>이 여성에 비해 3:1 정도로 많다. 전형적으로 <span style='color:blue;'>양측성이며 대칭적</span>이지만, 비대칭적으로 발생할 수 있고 수십년 후 다른눈을 침범할 수도 있다.
<span style='color:blue;'>20~40세</span>에 호발하고 <span style='color:blue;'>남성</span>이 여성에 비해 3:1 정도로 많다. 전형적으로 <span style='color:blue;'>양측성이며 대칭적</span>이지만, 비대칭적으로 발생할 수 있고 수십년 후 다른눈을 침범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