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리엔 각막 가장자리 변성: 두 판 사이의 차이

176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7월 8일 (금)
잔글
잔글 (→‎분류)
18번째 줄: 18번째 줄: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병변은 <span style='color:blue;'>상비측 윤부</span>에서 주로 시작되는데, 윤부에서 투명대를 두고 미세한 점상 혼탁이 전부 기질에 나타난다. 윤부에서 병변으로 진행된 미세한 표층 신생혈관이 노인환과 구분된다. 고랑이 각막 혼탁과 윤부 사이에 형성되며, 각막 기질은 수년에 걸쳐 점점 얇아지고, 고랑의 주변부 쪽은 완만한 경계를 이루는 반면 중심부 쪽은 종종 급경사를 이룬다. 상피는 정상이지만 고랑은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넓어지고 혈관이 생긴다. 병변은 주변부 혹은 각막 중심으로 확장된다32. 각막의 중심부로 향하는 <span style='color:blue;'>선두 부분에 황백색의 지방</span>이 관찰된다.
병변은 <span style='color:blue;'>상비측 윤부</span>에서 주로 시작되는데, 윤부에서 투명대를 두고 미세한 점상 혼탁이 전부 기질에 나타난다. 윤부에서 병변으로 진행된 미세한 표층 신생혈관이 노인환과 구분된다. 고랑이 각막 혼탁과 윤부 사이에 형성되며, 각막 기질은 수년에 걸쳐 점점 얇아지고, 고랑의 주변부 쪽은 완만한 경계를 이루는 반면 중심부 쪽은 종종 급경사를 이룬다. 상피는 정상이지만 고랑은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넓어지고 혈관이 생긴다. 병변은 주변부 혹은 각막 중심으로 확장된다<ref>Nirankari VS et al. Central cornea involvement in Terrien's degeneration. ''Ophthalmic Surg''. 1983 Mar;14(3):245-7. [https://pubmed.ncbi.nlm.nih.gov/6856243/ 연결]</ref>. 각막의 중심부로 향하는 <span style='color:blue;'>선두 부분에 황백색의 지방</span>이 관찰된다.


각막 가장자리 부위가 얇아지면 난시가 유발된다. 전형적으로 병변이 12시쪽에 있으면 도난시가 유발되고 증상이 발생한다. 난시는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로 교정할 수 있다.
각막 가장자리 부위가 얇아지면 난시가 유발된다. 전형적으로 병변이 12시쪽에 있으면 도난시가 유발되고 증상이 발생한다. 난시는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로 교정할 수 있다.
== 조직 병리 ==
== 조직 병리 ==
아교질의 섬유성 변성이 관찰되며 상피는 정상이거나 두껍거나 혹은 얇아져 있다. 보우만층은 단절되거나 소실되어 있다. 깨진 데스메막이 각막이 얇아진 영역에서 보일 수 있다. 이 때 방수 주머니가 임상적으로 관찰될 수 있다. 방수 주머니는 상피하 공간과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여과포와 저안압이 일어날 수 있다. 데스메막을 복구하는 섬유성 조직이 관찰될 수도 있다. 지질 침착은 콜레스테롤 결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교질 식세포 작용의 생성물로 가득찬 조직구들도 관찰될 수 있으며, 염증 세포들은 명확한 침윤 없이 드물게 산재되어 있다. 한 연구 결과는 테리엔 각막 가장자리 변성과 [[무렌 각막 궤양]]의 관계를 암시하는 림프구 및 형질 세포의 침윤을 보고했다34. Lopez 등은 테리엔 각막 가장자리 변성의 5%와 무렌 각막 궤양의 25%에서 B세포의 비율에 차이가 나타남을 증명했다. 이러한 차이에 따라 두 질병의 발현 속도, 활동성, 그리고 병인이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35.
아교질의 섬유성 변성이 관찰되며 상피는 정상이거나 두껍거나 혹은 얇아져 있다. 보우만층은 단절되거나 소실되어 있다. 깨진 데스메막이 각막이 얇아진 영역에서 보일 수 있다. 이 때 방수 주머니가 임상적으로 관찰될 수 있다. 방수 주머니는 상피하 공간과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여과포와 저안압이 일어날 수 있다. 데스메막을 복구하는 섬유성 조직이 관찰될 수도 있다. 지질 침착은 콜레스테롤 결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교질 식세포 작용의 생성물로 가득찬 조직구들도 관찰될 수 있으며, 염증 세포들은 명확한 침윤 없이 드물게 산재되어 있다. 한 연구 결과는 테리엔 각막 가장자리 변성과 [[무렌 각막 궤양]]의 관계를 암시하는 림프구 및 형질 세포의 침윤을 보고했다34. Lopez 등은 테리엔 각막 가장자리 변성의 5%와 무렌 각막 궤양의 25%에서 B세포의 비율에 차이가 나타남을 증명했다. 이러한 차이에 따라 두 질병의 발현 속도, 활동성, 그리고 병인이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