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임상 소견) |
잔글 (→조직 병리)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 조직 병리 == | == 조직 병리 == | ||
아교질의 섬유성 변성이 관찰되며 상피는 정상이거나 두껍거나 혹은 얇아져 있다. 보우만층은 단절되거나 소실되어 있다. 깨진 데스메막이 각막이 얇아진 영역에서 보일 수 있다. 이 때 방수 주머니가 임상적으로 관찰될 수 있다. 방수 주머니는 상피하 공간과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여과포와 저안압이 일어날 수 있다. 데스메막을 복구하는 섬유성 조직이 관찰될 수도 있다. 지질 침착은 콜레스테롤 결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교질 식세포 작용의 생성물로 가득찬 조직구들도 관찰될 수 있으며, 염증 세포들은 명확한 침윤 없이 드물게 산재되어 있다. 한 연구 결과는 테리엔 각막 가장자리 변성과 [[무렌 각막 궤양]]의 관계를 암시하는 림프구 및 형질 세포의 침윤을 | 아교질의 섬유성 변성이 관찰되며 상피는 정상이거나 두껍거나 혹은 얇아져 있다. 보우만층은 단절되거나 소실되어 있다. 깨진 데스메막이 각막이 얇아진 영역에서 보일 수 있다. 이 때 방수 주머니가 임상적으로 관찰될 수 있다. 방수 주머니는 상피하 공간과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여과포와 저안압이 일어날 수 있다. 데스메막을 복구하는 섬유성 조직이 관찰될 수도 있다. 지질 침착은 콜레스테롤 결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교질 식세포 작용의 생성물로 가득찬 조직구들도 관찰될 수 있으며, 염증 세포들은 명확한 침윤 없이 드물게 산재되어 있다. 한 연구 결과는 테리엔 각막 가장자리 변성과 [[무렌 각막 궤양]]의 관계를 암시하는 림프구 및 형질 세포의 침윤을 보고했다<ref>Binder PS et al. Noninfectious peripheral corneal ulceration : Mooren's ulcer or TMD? ''Ann Ophthalmol''. 1982 May;14(5):425-6, 428-9, 432-5. [https://pubmed.ncbi.nlm.nih.gov/7051935/ 연결]</ref>. Lopez 등은 테리엔 각막 가장자리 변성의 5%와 무렌 각막 궤양의 25%에서 B세포의 비율에 차이가 나타남을 증명했다. 이러한 차이에 따라 두 질병의 발현 속도, 활동성, 그리고 병인이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ref>Lopez JS et al. Immunohistochemistry of Terrien's and Mooren's corneal degeneration. 'Arch Ophthalmol''. 1991 Jul;109(7):988-92. [https://pubmed.ncbi.nlm.nih.gov/2064583/ 연결]</ref>. | ||
== 수술적 치료 == | == 수술적 치료 == | ||
난시가 심하거나 천공이 임박한 경우 혹은 천공이 된 경우에는 부분층 각막이식 또는 한쪽으로 치우친 [[전층 각막 이식]]으로 치료할 수 있다. | 난시가 심하거나 천공이 임박한 경우 혹은 천공이 된 경우에는 부분층 각막이식 또는 한쪽으로 치우친 [[전층 각막 이식]]으로 치료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