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역학)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검열반 (pinguecula)'''{{각막}} 은 결막에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 결막에 회백색에서 노란색의 결절 형태로 나타나고 조직학적으로 결막 상피의 이상 분화와 결막 결체 조직의 증식이 나타난다<ref>Dong N et al. Abnormal epithelial differentiation and tear film alteration in pinguecula. ''IOVS''. 2009 Jun;50(6):2710-5. [https://pubmed.ncbi.nlm.nih.gov/19182253/ 연결]</ref>. | '''검열반 (pinguecula)'''{{각막}} 은 결막에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 결막에 회백색에서 노란색의 결절 형태로 나타나고 조직학적으로 결막 상피의 이상 분화와 결막 결체 조직의 증식이 나타난다<ref>Dong N et al. Abnormal epithelial differentiation and tear film alteration in pinguecula. ''IOVS''. 2009 Jun;50(6):2710-5. [https://pubmed.ncbi.nlm.nih.gov/19182253/ 연결]</ref>. | ||
== 역학 == | == 역학 == | ||
눈꺼풀 틈새의 3시, 9시 방향의 윤부 주변에서 발견된다. 대개 양측성으로 이측보다는 비측에 더 많다. 유병률은 나이에 따라 증가하며, 80대의 경우 거의 모든 사람에서 발견된다. | 눈꺼풀 틈새의 3시, 9시 방향의 윤부 주변에서 발견된다. 대개 양측성으로 이측보다는 비측에 더 많다<ref>Taylor HR et al. Corneal changes a/w chronic UV irradiation. ''Arch Ophthalmol''. 1989 Oct;107(10):1481-4. [https://pubmed.ncbi.nlm.nih.gov/2803097/ 연결]</ref>. 유병률은 나이에 따라 증가하며, 80대의 경우 거의 모든 사람에서 발견된다. | ||
== 원인 == | == 원인 == | ||
자외선 조사로 인한 피부 손상과 비슷한 광화학적 요인으로 생각된다. 자외선 조사와 노화성 변화에서 발견되는 공모양 각막변성과 같이 무효소 당화의 최종 생산물과 밀접할 가능성이 있다. 비측 호발의 원인은 불분명하나 코의 측면에서 빛이 반사되기 때문에 비측 결막이 더 많은 광화학 손상을 받는다는 이론이 제기되고 있다. | 자외선 조사로 인한 피부 손상과 비슷한 광화학적 요인으로 생각된다. 자외선 조사와 노화성 변화에서 발견되는 공모양 각막변성과 같이 무효소 당화의 최종 생산물과 밀접할 가능성이 있다. 비측 호발의 원인은 불분명하나 코의 측면에서 빛이 반사되기 때문에 비측 결막이 더 많은 광화학 손상을 받는다는 이론이 제기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