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823
번
(새 문서: '''지방 각막 변성 (lipid corneal degeneration)'''{{각막}} == 분류 == * 원발성 : 매우 드물어서 증례가 보고될 정도이다. * 속발성 : 더 흔한 형태로,...) |
잔글 (→분류)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 원발성 : 매우 드물어서 증례가 보고될 정도이다. | * 원발성 : 매우 드물어서 증례가 보고될 정도이다. | ||
* 속발성 : 더 흔한 형태로, 신생혈관이 발생면 나타나게 된다. 사이질 각막염, 외상, 각막 수종, 각막 궤양 그리고 혈전 형성을 유발하는 겨자 가스 (mustard gas) 손상 등과 관련 있다10. | * 속발성 : 더 흔한 형태로, 신생혈관이 발생면 나타나게 된다. 사이질 각막염, 외상, 각막 수종, 각막 궤양 그리고 혈전 형성을 유발하는 겨자 가스 (mustard gas) 손상 등과 관련 있다10. | ||
== 원발성 == | |||
=== 역학 === | |||
7:3의 비율로 남성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여성의 경우 언제나 폐경기 이전에 나타나는 것으로 미루어, HDL이 연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
== 원인 === | |||
원발성 변성에서 지방은 콜레스테롤, 중성 지방, 인지질로 구성되며, 이러한 지방의 세포외 침착이 관찰된다1,2. 이러한 조성은 노인환에서 나타나는 것과 유사하다. 이는 원발성 변성이 노인환과 관련 있거나 노인환의 진행된 형태라는 것을 시사한다. 원인은 불명확하지만 윤부 혈관의 혈관 투과성이 증가한 데서 기인하거나 혹은 각막 실질 세포의 변형된 대사 작용에 의해 이러한 지방 물질이 죽어가는 세포로부터 기질로 분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
=== 임상 양상 === | |||
지방 침착은 중심부 혹은 주변부 모두에서 일어날 수 있다. 주변부 침착은 일반적으로 노인환의 연장을 보인다. | |||
=== 조직 병리 === | |||
지방 변성이 일어난 부위 기질의 세포 밀도가 감소한 것이 확인된다14. 각막환과 마찬가지로 지방은 후부 기질이나 데스메막에서 발견되고, 이것은 전부 기질에서 침착이 일어나는 [[슈나이더 각막 이상증]]과 구분된다. | |||
=== 진단 === | |||
외상, 유사 질환의 가족력, 각막 신생혈관 또는 다른 알려진 지방 대사 장애의 과거력이 없어야 한다. | |||
=== 치료 === | |||
이 질환이 임상적으로 중요한 이유는 미용적인 이유보다는 시력 저하 때문이다. 치료를 위해서는 [[전층 각막 이식]]을 시행하며, 기증 각막에서의 재발은 1예가 보고되어 있다15. | |||
== 속발성 == | == 속발성 == | ||
=== 역학 === | === 역학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