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75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7월 13일 (수)
잔글
6번째 줄: 6번째 줄:


== 발생 기전 ==
== 발생 기전 ==
* 조절 부족 (lag of accommodation) : 과도한 근거리 작업이 조절 부족을 일으켜 망막 뒤쪽에 초점이 맺히게 되는 원시성 초점 흐림을 야기하고 안축장 길이를 증가시키는 신호로 작용되어 근시를 유발한다<ref>Chen JC et al. The autonomic control of accommodation and implications for human myopia development : a review. ''Ophthalmic Physiol Opt''. 2003 Sep;23(5):401-22. [https://pubmed.ncbi.nlm.nih.gov/12950887/ 연결]</ref><ref>Goss DA et al. Retinal-image mediated ocular growth as a mechanism for juvenile onset myopia and for emmetropization. A literature review. ''Doc Ophthalmol''. 1995;90(4):341-75. [https://pubmed.ncbi.nlm.nih.gov/8620819/ 연결]</ref>.
* 조절 부족 (lag of accommodation) : 과도한 근거리 작업이 조절 부족을 일으켜 망막 뒤쪽에 초점이 맺히게 되는 원시성 초점 흐림을 야기하고 안축장 길이를 증가시키는 신호로 작용되어 근시를 유발한다<ref>Chen JC et al. The autonomic control of accommodation and implications for human myopia development : a review. ''Ophthalmic Physiol Opt''. 2003 Sep;23(5):401-22. [https://pubmed.ncbi.nlm.nih.gov/12950887/ 연결]</ref><ref>Goss DA et al. Retinal-image mediated ocular growth as a mechanism for juvenile onset myopia and for emmetropization. A literature review. ''Doc Ophthalmol''. 1995;90(4):341-75. [https://pubmed.ncbi.nlm.nih.gov/8620819/ 연결]</ref><ref>Gwiazda J et al. Myopic children show insufficient accommodative response to blur. ''IOVS''. 1993 Mar;34(3):690-4. [https://pubmed.ncbi.nlm.nih.gov/8449687/ 연결]</ref>.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