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915 바이트 제거됨 ,  2022년 7월 18일 (월)
잔글
잔글 (→‎분류)
잔글 (→‎분류)
26번째 줄: 26번째 줄:


== 분류 ==
== 분류 ==
* 사시 (strabismic) 약시 : 굴절 부등 약시 등에 비해 <span style='color:blue;'>외견상 발견하기가 쉬워 치료가 일찍부터 시작</span>되므로 유병률 조사에서 대상 나이가 많아질수록 사시 약시의 비율이 낮아진다. 사시 종류로는 <span style='color:blue;'>영아 내사시에서 높은 빈도로 발생</span>하고, 교대로 주시하거나 간헐성인 경우, 융합이 되는 경우는 거의 약시가 생기지 않는다. 외사시에서 발생 초기에는 간헐성이며 상사시에서는 비정상 머리 위치를 취하여 융합을 유지할 수 있어 약시가 드물게 생긴다. 내사시에서 약시 이환율이 높은 이유는 망막 시피질 신경섬유 투사에서 코쪽과 귀쪽 비대칭이 있기 때문이며, 사시안의 망막 중심오목이 반대쪽 눈인 비사시안의 더 강력한 귀쪽 절반 망막과 경쟁하므로 약시가 더 쉽게 발생한다.
* [[사시 약시|사시 (strabismic) 약시]]
* [[굴절 부등 약시|굴절 부등 (anisometropic) 약시]] : <span style='color:blue;'>굴절 부등 원시에서 근시보다 약시가 더 흔하고 심하게 나타나는데</span>, 그 이유는 두 눈이 원시인 경우 원시가 약한 쪽 중심오목에 선명하게 초점이 맺히면, 더 심한 원시쪽 중심오목은 깨끗한 상을 만들려는 조절 노력 자극이 없으므로 항상 깨끗하고 선명한 상을 받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두 눈이 근시인 경우는, 더 심한 눈은 가까운 물체를 볼 때, 덜 심한 눈은 먼거리 물체를 볼 때 사용되므로, 근시가 매우 심하지 않는 한 양쪽 망막은 적절한 자극을 받게 되어 약시가 잘 발생하지 않는다.
* [[굴절 부등 약시|굴절 부등 (anisometropic) 약시]] : <span style='color:blue;'>굴절 부등 원시에서 근시보다 약시가 더 흔하고 심하게 나타나는데</span>, 그 이유는 두 눈이 원시인 경우 원시가 약한 쪽 중심오목에 선명하게 초점이 맺히면, 더 심한 원시쪽 중심오목은 깨끗한 상을 만들려는 조절 노력 자극이 없으므로 항상 깨끗하고 선명한 상을 받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두 눈이 근시인 경우는, 더 심한 눈은 가까운 물체를 볼 때, 덜 심한 눈은 먼거리 물체를 볼 때 사용되므로, 근시가 매우 심하지 않는 한 양쪽 망막은 적절한 자극을 받게 되어 약시가 잘 발생하지 않는다.
* [[시각 차단 약시|시각 차단 (visual deprivation) 약시]] (amblyopia ex anopsia) : 한 눈 약시는 형태시 차단과 비정상적인 두눈 상호작용이 관여하나, 두 눈 약시는 형태시 차단만이 관여한다. 한 눈만 시각 차단 약시가 있는 어린이에서 감각 사시가 잘 생길 수 있다. 시자극 차단 정도가 심한 경우 영유아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시력 저하는 영구적으로 남게 된다.
* [[시각 차단 약시|시각 차단 (visual deprivation) 약시]] (amblyopia ex anopsia) : 한 눈 약시는 형태시 차단과 비정상적인 두눈 상호작용이 관여하나, 두 눈 약시는 형태시 차단만이 관여한다. 한 눈만 시각 차단 약시가 있는 어린이에서 감각 사시가 잘 생길 수 있다. 시자극 차단 정도가 심한 경우 영유아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시력 저하는 영구적으로 남게 된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