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막: 두 판 사이의 차이

51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7월 19일 (화)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 생물학적 특성 ==
== 생물학적 특성 ==
두께는 0.2~0.5mm 로 상피, 바닥막, 기질의 세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께는 0.2~0.5mm 로 상피, 바닥막, 기질의 세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 상피 : -80℃에 1개월간 보관된 냉동 양막은 성장 효소(EGF, TGF-α, KGF, HGF, bFGF, TGF-β2)를 함유하고 있는데, 양막 상피가 없는 양막보다 있는 양막에서 그 농도가 더 높아 양막 상피에 성장 인자가 많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각막상피 줄기세포의 미세 환경을 유지시켜주는 cytokine을 갖고 있다.
* 단순 입방 상피 : -80℃에 1개월간 보관된 냉동 양막은 성장 효소(EGF, TGF-α, KGF, HGF, bFGF, TGF-β2)를 함유하고 있는데, 양막 상피가 없는 양막보다 있는 양막에서 그 농도가 더 높아 양막 상피에 성장 인자가 많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각막상피 줄기세포의 미세 환경을 유지시켜주는 cytokine을 갖고 있다.
* 바닥막 : 상피세포의 이동, 바닥세포의 부착을 촉진하고 세포 자멸사를 억제한다.
* 두꺼운 바닥막 : 상피세포의 이동, 바닥세포의 부착을 촉진하고 세포 자멸사를 억제한다.
* 실질 : TGF-β 신호 전달을 억제하여 정상 각막, 결막 윤부 섬유모세포의 증식을 조절하고 결막하 섬유화를 억제한다. 또한 실질의 염증, 신생혈관과 단백 분해를 억제하여 염증과 궤양을 줄인다.
* 무혈관성의 간엽성 실질 : TGF-β 신호 전달을 억제하여 정상 각막, 결막 윤부 섬유모세포의 증식을 조절하고 결막하 섬유화를 억제한다. 또한 실질의 염증, 신생혈관과 단백 분해를 억제하여 염증과 궤양을 줄인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표. 양막의 구성 성분과 특성
|+표. 양막의 구성 성분과 특성
17번째 줄: 17번째 줄:
|}
|}
단층의 입방 세포인 상피는 많은 반결합체로 바닥판에 부착되어 있다. 바닥막은 아교질 IV/VII, 섬유 결합소, laminin 1/5로 구성되어 있다. 기질층은 혈관, 근섬유, 신경 등이 없는 느슨한 결합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록 양막 상피, 중배엽 세포, 섬유모세포가 HLA I가 II를 발현하지만, <span style='color:blue;'>양막은 이식해도 면역 거부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다</span>.
단층의 입방 세포인 상피는 많은 반결합체로 바닥판에 부착되어 있다. 바닥막은 아교질 IV/VII, 섬유 결합소, laminin 1/5로 구성되어 있다. 기질층은 혈관, 근섬유, 신경 등이 없는 느슨한 결합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록 양막 상피, 중배엽 세포, 섬유모세포가 HLA I가 II를 발현하지만, <span style='color:blue;'>양막은 이식해도 면역 거부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다</span>.
== 임상적 효과 ==
== 임상적 효과 ==
* 상피화 촉진 (상피세포의 이동과 부착력 증대, 분화 촉진, 상피 표현형 유지, 상피세포 자멸사 억제)
* 상피화 촉진 (상피세포의 이동과 부착력 증대, 분화 촉진, 상피 표현형 유지, 상피세포 자멸사 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