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막 이식: 두 판 사이의 차이

1,419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7월 19일 (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양막]]은 임상 질환에서 각막과 결막 재건에 사용되며, 현재 안구 표면과 각막의 수술에 매우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양막이 기존 치료와 비교하여 더 우월하다는 과학적 증거는 아직 적다. 반흔을 줄이고 신생혈관을 억제하며 항염증 효과가 있고 그 바닥막은 상피화와 창상 치유를 돕는 특성이 있끼 때문에 군날개 수술에도 사용할 수 있다.
[[양막]]은 임상 질환에서 각막과 결막 재건에 사용되며, 현재 안구 표면과 각막의 수술에 매우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양막이 기존 치료와 비교하여 더 우월하다는 과학적 증거는 아직 적다. 반흔을 줄이고 신생혈관을 억제하며 항염증 효과가 있고 그 바닥막은 상피화와 창상 치유를 돕는 특성이 있끼 때문에 군날개 수술에도 사용할 수 있다.
== 역사 ==
안과 질환에 양막이 처음 사용된 것은 1940년 De Rotth<ref>De Rotth A. Plastic repair of conjunctival defects w fetal membranes. ''Arch ophthalmol'' 1940;23:522-5.</ref>가 결막 표면 재건을 위해 사용하였으나 결과는 성공적이지 않았고, 1946년 Sorsby 등<ref>Sorsby A et al. Amniotic membrane grafts in caustic burns of the eye : (Burns of the 2nd degree). ''BJO''. 1946 Jun;30(6):337-45. [https://pubmed.ncbi.nlm.nih.gov/18170229/ 연결]</ref>이 부식성의 안구 화상에 양막을 치료 재료로 사용하여 성공한 사례를 보고하였다. 이후 안과적 영역에서 양막 사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았으나 1995년 Kim 등<ref>Kim JC et al. Transplantation of preserved human amniotic membrane for surface reconstruction in severely damaged rabbit corneas. ''Cornea''. 1995 Sep;14(5):473-84. [https://pubmed.ncbi.nlm.nih.gov/8536460/ 연결]</ref>이 토끼의 각막 상피를 완전히 벗겨 내고 양막 이식을 이용해 각막 표면을 재건하는 연구를 발표하였고, 1997년 Lee 등<ref>Lee SH et al. AMT for persistent ED w ulceration. ''AJO''. 1997 Mar;123(3):303-12. [https://pubmed.ncbi.nlm.nih.gov/9063239/ 연결]</ref>은 양막을 저장 및 보관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이후 최근에 이르기까지 양막이 다양한 안구 표면 질환의 치료에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 원리 ==
== 원리 ==
양막에 대한 임상 결과를 보조하는 기초 연구로 Fukuda 등은 양막에 있는 제 4형 아교질과 라미닌을 연구한 결과, 제 4형 아교질의 α-subchain 이 결막과 동일하다는 것을 밝혀내고 양막이 결막 결손을 대체할 수 있는 재료라고 보고했다. 또한 양막은 TGF-β 신호 전달 체계를 억제하므로 안구 표면 수술에 사용하면 반흔과 섬유화를 억제할 수 있다고 기술했다.
양막에 대한 임상 결과를 보조하는 기초 연구로 Fukuda 등은 양막에 있는 제 4형 아교질과 라미닌을 연구한 결과, 제 4형 아교질의 α-subchain 이 결막과 동일하다는 것을 밝혀내고 양막이 결막 결손을 대체할 수 있는 재료라고 보고했다. 또한 양막은 TGF-β 신호 전달 체계를 억제하므로 안구 표면 수술에 사용하면 반흔과 섬유화를 억제할 수 있다고 기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