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이식편대 숙주병: 두 판 사이의 차이

171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7월 20일 (수)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 병태생리 ==
== 병태생리 ==
* 급성기 : 공여자의 T세포와 수여자의 조직 적합 항원의 상호작용으로 눈 증상이 나타난다.
* 급성기 : 공여자의 T세포와 수여자의 조직 적합 항원의 상호작용으로 눈 증상이 나타난다.
* 만성기 : 결막과 눈물샘의 파괴와 섬유화로 인한 안구 표면의 건조증으로 인해 안 증상이 발생하는 것을 그 병태생리로 한다<ref>Jack MK et al. Ocular manifestations of graft-v-host disease. ''Arch Ophthalmol''. 1983 Jul;101(7):1080-4. doi: 10.1001/archopht.1983.01040020082014. PMID: 6347149.</ref><ref>Saito T et al. Ocular manifestation of acute GVHD after allogeneic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Int J Hematol''. 2002 Apr;75(3):332-4. [https://pubmed.ncbi.nlm.nih.gov/11999366/ 연결]</ref>. 따라서, 만성 oGVHD는 건성 각결막염, 심한 점상 각막염이 주된 임상 양상으로 나타나게 된다<ref>Ogawa Y et al. Dry eye after ha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BJO''. 1999 Oct;83(10):1125-30. [https://pubmed.ncbi.nlm.nih.gov/10502571/ 연결]</ref>.
* 만성기 : 결막과 눈물샘의 파괴와 섬유화로 인한 안구 표면의 건조증으로 인해 안 증상이 발생하는 것을 그 병태생리로 한다<ref>Jack MK et al. Ocular manifestations of graft-v-host disease. ''Arch Ophthalmol''. 1983 Jul;101(7):1080-4. doi: 10.1001/archopht.1983.01040020082014. PMID: 6347149.</ref><ref>Saito T et al. Ocular manifestation of acute GVHD after allogeneic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Int J Hematol''. 2002 Apr;75(3):332-4. [https://pubmed.ncbi.nlm.nih.gov/11999366/ 연결]</ref>. 따라서, 만성 oGVHD는 건성 각결막염, 심한 점상 각막염이 주된 임상 양상으로 나타나게 된다<ref>Ogawa Y et al. Dry eye after ha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BJO''. 1999 Oct;83(10):1125-30. [https://pubmed.ncbi.nlm.nih.gov/10502571/ 연결]</ref><ref>Shikari H et al. Ocular graft-versus-host disease : a review. ''Surv Ophthalmol''. 2013 May-Jun;58(3):233-51. [https://pubmed.ncbi.nlm.nih.gov/23541042/ 연결]</ref>.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