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병인) |
잔글 (→병인)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 병인 == | == 병인 == | ||
혈전증이 생기는 병인에 대해서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면역 반응에 의해 혈관내피 활성화, 염증성 싸이토카인의 생성, 혈관 세포부착 인자의 기능항진이 발생하여 혈관 내강에 호중구와 단핵구의 동원을 촉진하게 된다<ref>Giannakopoulos B et al. The pathogenesis of the antiphospholipid syndrome. ''NEJM''. 2013 Mar 14;368(11):1033-44. [https://pubmed.ncbi.nlm.nih.gov/23484830/ 연결]</ref>. | 혈전증이 생기는 병인에 대해서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면역 반응에 의해 혈관내피 활성화, 염증성 싸이토카인의 생성, 혈관 세포부착 인자의 기능항진이 발생하여 혈관 내강에 호중구와 단핵구의 동원을 촉진하게 된다<ref>Giannakopoulos B et al. The pathogenesis of the antiphospholipid syndrome. ''NEJM''. 2013 Mar 14;368(11):1033-44. [https://pubmed.ncbi.nlm.nih.gov/23484830/ 연결]</ref>. | ||
망막혈전증의 유무와 관련 없이 망막 혈관염만 나타나기도 한다<ref>Turaka K et al. Bilateral occlusive retinal vasculitis in a patient w primary APS. ''Can J Ophthalmol''. 2012 Dec;47(6):e60-1. [https://pubmed.ncbi.nlm.nih.gov/23217524/ 연결]</ref>. 망막 혈관염은 FA에서 특징적인 형광 누출과 모세혈관 비관류를 관찰할 수 있는데, Lally 등<ref>Lally L et al. Vasculitis in antiphospholipid syndrome. ''Rheum Dis Clin North Am''. 2015;41(1):109-23, ix. [https://pubmed.ncbi.nlm.nih.gov/25399943/ 연결]</ref>은 APS에서 망막 혈관염은 조직병리학적인 근거가 없기 때문에 근본적인 원인으로 미세 혈전의 존재를 완전히 배제할 수 없으며, 이전의 연구에서도 스테로이드 치료 없이 항응고 치료로도 성공적으로 회복된 사례가 있듯이 혈전이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 | |||
== 분류 == | == 분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