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9
번
잔글 (→유전) |
잔글 (→검사 및 진단)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 전기생리 검사 : 막대세포와 원뿔세포를 함께 침범하는 광수용체 기능 이상이 있었다. | * 전기생리 검사 : 막대세포와 원뿔세포를 함께 침범하는 광수용체 기능 이상이 있었다. | ||
* 색각 : 위적색약을 가진 후천성 제삼형 청황색약이 관찰되었다. | * 색각 : 위적색약을 가진 후천성 제삼형 청황색약이 관찰되었다. | ||
== 감별 진단 == | |||
중요한 요소로서 가족력, 유전 양상, 약물 복용력 등이 있다. | |||
* 항말라리아제 복용 이후 발생하는 망막병증 : 클로로퀸 또는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의 복용력이 있으며, 감별을 위해 약제 복용력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 |||
* 원뿔-막대세포 이상증 : BCAMD와 달리 광시증, 진행하는 중심 시력 저하, 색각 이상 등의 증상이 있으며, 명소시 망막전위도의 변화가 있다. | |||
* 스타가르트병 : BCAMD와 다르게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며, 중심부 시력의 감소가 발생한다. 초기의 안저는 정상처럼 보일 수도 있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