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임상 소견) |
잔글 (→안과적)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재발성 정맥 및 동맥의 혈전증, 습관성 유산, 혈소판 감소 등의 증상을 보인다<ref>Cervera R. Antiphospholipid syndrome. ''Thromb Res''. 2017 Mar;151 Suppl 1:S43-S47. [https://pubmed.ncbi.nlm.nih.gov/28262233/ 연결]</ref>. | 재발성 정맥 및 동맥의 혈전증, 습관성 유산, 혈소판 감소 등의 증상을 보인다<ref>Cervera R. Antiphospholipid syndrome. ''Thromb Res''. 2017 Mar;151 Suppl 1:S43-S47. [https://pubmed.ncbi.nlm.nih.gov/28262233/ 연결]</ref>. | ||
=== 안과적 === | === 안과적 === | ||
[[일과성 흑암시]] (5.4%), 망막동맥 혈전증 (retinal artery thrombosis, 1.5%) 도 가능하다고 보고하였다. APS가 안구에 이환되는 발생률은 8~88%로 연구마다 상이한 차이를 보이며, Utz | [[일과성 흑암시]] (5.4%), 망막동맥 혈전증 (retinal artery thrombosis, 1.5%) 도 가능하다고 보고하였다. APS가 안구에 이환되는 발생률은 8~88%로 연구마다 상이한 차이를 보이며, Utz 등<ref>Utz VM et al. Ocular manifestations of the antiphospholipid syndrome. ''BJO''. 2011 Apr;95(4):454-9. [https://pubmed.ncbi.nlm.nih.gov/20693557/ 연결]</ref>은 후안부가 APS이 주로 이환되는 장소로 망막혈관폐쇄, 유리체 염증, 허혈 시신경병증 등이 동반될 수 있고, 흔하지 않지만 건성안 증후군과 상피 각막병증, [[실모양 각막병증]] 등 전안부에도 증상이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2 | ||
== 진단 == | == 진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