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임상 소견) |
잔글 (→병인)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 역학 == | == 역학 == | ||
안구 둔상 후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으로 모든 외상 후 안저 변화의 9.4%를 차지한다. | 안구 둔상 후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으로 모든 외상 후 안저 변화의 9.4%를 차지한다. | ||
== | == 조직 병리 == | ||
조직 병리학 관점에서 세포외 부종, 교세포의 세포내 부종 그리고 시세포 외절의 파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erlin1 은 망막혼탁이 세포외 부종 때문이라고 가정하였고 이는 Berlin's edema로 알려져 있다. Hart 등3,9과 Blight와 Hart10는 돼지를 이용한 동물 실험에사 망막 교세포의 세포내 부종을 보고하였고, 또한 같은 모델에서 시세포 외절의 파괴 및 RPE 내의 부종을 발견하였다. 반면에 Sipperley 등12은 올빼미 원숭이 실험에서 시세포 외절의 파괴만을 발견하였다. Kohno 등6은 붉은털 원숭이 실험에서 시세포 외절의 파괴와 더불어 [[뮬러세포]], 망막색소상피세포, 신경섬유세포, 외망상층의 세포내 부종을 발견하였고, Mansour 등8은 사람 눈의 조직병리 검사에서 시세포 외절의 파괴 및 인접한 RPE의 손상을 발견하였다.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