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진탕: 두 판 사이의 차이

138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7월 31일 (일)
잔글
3번째 줄: 3번째 줄:
안구 둔상 후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으로 모든 외상 후 안저 변화의 9.4%를 차지한다.
안구 둔상 후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으로 모든 외상 후 안저 변화의 9.4%를 차지한다.
== 조직 병리 ==
== 조직 병리 ==
조직 병리학 관점에서 세포외 부종, 교세포의 세포내 부종 그리고 시세포 외절의 파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erlin1 은 망막혼탁이 세포외 부종 때문이라고 가정하였고 이는 Berlin's edema로 알려져 있다. Hart 등3,9과 Blight 등<ref>Blight R et al. Histological changes in the internal retinal layers produced by concussive injuries to the globe. An experimental study. ''Trans Ophthalmol Soc U K'' (1962). 1978;98(2):270-7. [https://pubmed.ncbi.nlm.nih.gov/286456/ 연결]</ref>은 돼지를 이용한 동물 실험에사 망막 교세포의 세포내 부종을 보고하였고, 또한 같은 모델<ref>Blight R et al. Structural changes in the outer retinal layers following blunt mechanical non-perforating trauma to the globe : an experimental study. ''BJO''. 1977 Sep;61(9):573-87. [https://pubmed.ncbi.nlm.nih.gov/921920/ 연결]</ref>에서 시세포 외절의 파괴 및 RPE 내의 부종을 발견하였다. 반면에 Sipperley 등<ref>Sipperley JO et al. Traumatic retinopathy in primates. The explanation of commotio retinae. ''Arch Ophthalmol''. 1978 Dec;96(12):2267-73. [https://pubmed.ncbi.nlm.nih.gov/718521/ 연결]</ref>은 올빼미 원숭이 실험에서 시세포 외절의 파괴만을 발견하였다. Kohno 등6은 붉은털 원숭이 실험에서 시세포 외절의 파괴와 더불어 [[뮬러세포]], 망막색소상피세포, 신경섬유세포, 외망상층의 세포내 부종을 발견하였고, Mansour 등8은 사람 눈의 조직병리 검사에서 시세포 외절의 파괴 및 인접한 RPE의 손상을 발견하였다.
조직 병리학 관점에서 세포외 부종, 교세포의 세포내 부종 그리고 시세포 외절의 파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erlin1 은 망막혼탁이 세포외 부종 때문이라고 가정하였고 이는 Berlin's edema로 알려져 있다. Hart 등3,9과 Blight 등<ref>Blight R et al. Histological changes in the internal retinal layers produced by concussive injuries to the globe. An experimental study. ''Trans Ophthalmol Soc U K'' (1962). 1978;98(2):270-7. [https://pubmed.ncbi.nlm.nih.gov/286456/ 연결]</ref>은 돼지를 이용한 동물 실험에사 망막 교세포의 세포내 부종을 보고하였고, 또한 같은 모델<ref>Blight R et al. Structural changes in the outer retinal layers following blunt mechanical non-perforating trauma to the globe : an experimental study. ''BJO''. 1977 Sep;61(9):573-87. [https://pubmed.ncbi.nlm.nih.gov/921920/ 연결]</ref>에서 시세포 외절의 파괴 및 RPE 내의 부종을 발견하였다. 반면에 Sipperley 등<ref>Sipperley JO et al. Traumatic retinopathy in primates. The explanation of commotio retinae. ''Arch Ophthalmol''. 1978 Dec;96(12):2267-73. [https://pubmed.ncbi.nlm.nih.gov/718521/ 연결]</ref>은 올빼미 원숭이 실험에서 시세포 외절의 파괴만을 발견하였다. Kohno 등6은 붉은털 원숭이 실험에서 시세포 외절의 파괴와 더불어 [[뮬러세포]], 망막색소상피세포, 신경섬유세포, 외망상층의 세포내 부종을 발견하였고, Mansour 등<ref>Mansour AM et al. Histopathology of commotio retinae. Retina. 1992;12(1):24-8. [https://pubmed.ncbi.nlm.nih.gov/1565867/ 연결]</ref>은 사람 눈의 조직병리 검사에서 시세포 외절의 파괴 및 인접한 RPE의 손상을 발견하였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