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복 황반 이상증: 두 판 사이의 차이

525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8월 24일 (수)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잠복 황반 이상증 (occult macular dystrophy, OMD)'''{{망막}}
'''잠복 황반 이상증 (occult macular dystrophy, OMD)'''{{망막}}


1989년 Miyake 등1은 겉으로 드러난 안저 이상이 보이지 않는 황반 이상증을 한 가계에 속한 세 명의 환자에서 보고하였다.
1989년 Miyake 등<ref>Miyake Y et al. Hereditary macular dystrophy wo visible fundus abnormality. ''AJO''. 1989 Sep 15;108(3):292-9. [https://pubmed.ncbi.nlm.nih.gov/2774037/ 연결]</ref>은 겉으로 드러난 안저 이상이 보이지 않는 황반 이상증을 한 가계에 속한 세 명의 환자에서 보고하였다.
== 유전 ==
== 유전 ==
대부분의 환자들은 상염색체 우성 또는 산발성 유전 방식을 보이며, 8번 염색체 (8p23) 상의 ''RP1L1'' 유전자의 이상이 밝혀졌다13. 이 유전자의 과오 돌연변이가 원인일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정확한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4.
대부분의 환자들은 상염색체 우성 또는 산발성 유전 방식을 보이며, 8번 염색체 (8p23) 상의 ''RP1L1'' 유전자의 이상이 밝혀졌다<ref>Akahori M et al. Dominant mutations in RP1L1 are responsible for OMD. ''Am J Hum Genet''. 2010 Sep 10;87(3):424-9. [https://pubmed.ncbi.nlm.nih.gov/20826268/ 연결]</ref>. 이 유전자의 과오 돌연변이가 원인일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정확한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ref>Chen CJ et al. Characterizing the phenotype and genotype of a family w OMD. ''Arch Ophthalmol''. 2012 Dec;130(12):1554-9. [https://pubmed.ncbi.nlm.nih.gov/23229695/ 연결]</ref>.
== 증상 ==
== 증상 ==
점차 진행하는 양안의 시력 감소를 호소하며, 국내 환자들의 경우 환측 눈은 20/200부터 20/25 사이의 시력을 보였으며2, 대부분 심한 색각 이상을 보인다3. 증상 발생 시기는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증상 발생 연령이 어릴수록 이환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4
점차 진행하는 양안의 시력 감소를 호소하며, 국내 환자들의 경우 환측 눈은 20/200부터 20/25 사이의 시력을 보였으며2, 대부분 심한 색각 이상을 보인다3. 증상 발생 시기는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증상 발생 연령이 어릴수록 이환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