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특발 두개내압 상승)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 [[특발 두개내 고혈압|특발 두개내압 상승]] === | === [[특발 두개내 고혈압|특발 두개내압 상승]] === | ||
성장 호르몬 치료에 의해 발생하는 IICH는 1992년 해외에서 처음보고 되었으며 환자가 소아인만큼 증상은 무증상부터 전형적인 두개내압 상승의 증상인 두통, 오심, 구토가 나타나는 경우까지 다양했으나 모든 환자에서 시신경 유두 부종이 동반되었다는 특징이 있다<ref>Malozowski S et al. Benign intracranial hypertension in children with GH deficiency treated w GH. ''J Pediatr''. 1995 Jun;126(6):996-9. [https://pubmed.ncbi.nlm.nih.gov/7776116/ 연결]</ref><ref>Kanner LA et al. New-Onset Isolated Asymptomatic Papilledema in 2 Patients Treated With Recombinant GH. ''Clin Pediatr (Phila)''. 2018 Apr;57(4):471-474. [https://pubmed.ncbi.nlm.nih.gov/28952359/ 연결]</ref>. 대개 치료 시작 3개월 이내에 나타나는 경우가 흔하며 치료를 중단한 뒤에는 대부분의 환자에서 증상과 시신경 유두 부종이 모두 호전되었지만, 증상이 호전된 이후라도 다시 치료를 재개하는 경우 IICH가 재발하는 경우도 있었고 이로 인해 실명하는 증례<ref>Besch D et al. Visual loss wo headache in children with pseudotumor cerebri and GH treatment. ''Neuropediatrics''. 2013 Aug;44(4):203-7. [https://pubmed.ncbi.nlm.nih.gov/23275258/ 연결]</ref>도 있는 만큼 이에 대해 잘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ref>Martín-Begué N et al. GH Treatment and Papilledema : A Prospective Pilot Study. ''J Clin Res Pediatr Endocrinol''. 2021 Jun 2;13(2):146-151. [https://pubmed.ncbi.nlm.nih.gov/33006547/ 연결]</ref>. | 성장 호르몬 치료에 의해 발생하는 IICH는 1992년 해외에서 처음보고 되었으며 환자가 소아인만큼 증상은 무증상부터 전형적인 두개내압 상승의 증상인 두통, 오심, 구토가 나타나는 경우까지 다양했으나 모든 환자에서 시신경 유두 부종이 동반되었다는 특징이 있다<ref>Malozowski S et al. Benign intracranial hypertension in children with GH deficiency treated w GH. ''J Pediatr''. 1995 Jun;126(6):996-9. [https://pubmed.ncbi.nlm.nih.gov/7776116/ 연결]</ref><ref>Kanner LA et al. New-Onset Isolated Asymptomatic Papilledema in 2 Patients Treated With Recombinant GH. ''Clin Pediatr (Phila)''. 2018 Apr;57(4):471-474. [https://pubmed.ncbi.nlm.nih.gov/28952359/ 연결]</ref>. 대개 치료 시작 3개월 이내에 나타나는 경우가 흔하며 치료를 중단한 뒤에는 대부분의 환자에서 증상과 시신경 유두 부종이 모두 호전되었지만, 증상이 호전된 이후라도 다시 치료를 재개하는 경우 IICH가 재발하는 경우도 있었고 이로 인해 실명하는 증례<ref>Besch D et al. Visual loss wo headache in children with pseudotumor cerebri and GH treatment. ''Neuropediatrics''. 2013 Aug;44(4):203-7. [https://pubmed.ncbi.nlm.nih.gov/23275258/ 연결]</ref>도 있는 만큼 이에 대해 잘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ref>Martín-Begué N et al. GH Treatment and Papilledema : A Prospective Pilot Study. ''J Clin Res Pediatr Endocrinol''. 2021 Jun 2;13(2):146-151. [https://pubmed.ncbi.nlm.nih.gov/33006547/ 연결]</ref>. | ||
== 종류 == |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
|- | |||
!제품명||성분||제조사||약가 | |||
|- | |||
|그로트로핀투 주||Somatropin 4 IU||동아ST||20,488원/병 | |||
|}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