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역학) |
잔글 (→역학)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역학 == | == 역학 == | ||
유럽의 보고에 의하면 남성은 5%에서 녹색각 이상을, 1% 에서 적색각 이상을 보이는 반면 여성은 0.25%에서 녹색각 이상을, 0.01%에서 적색각 이상을 보인다. 또한 12%의 여성이 색각 이상 유전자의 보인자로 알려져 있다. 적색과 녹색을 전혀 구별하지 못하는 적색맹과 녹색맹은 남성의 약 1% 에서 나타나며, 여성은 1만명 당 1명 꼴로 발생한다. 여성의 약 2% 가 색맹 유전자의 보인자이다. 유럽에 비해 아시아에서의 색각 이상자의 빈도는 상대적으로 낮으며 남성에서 4.9%, 여성에서 0.64% 가 색각 이상을 가진다. 흑인, 아메리카 원주민, 멕시코인에서는 빈도가 이보다 낮아 남성의 3.1%, 여성의 0.7% 에서 색각 이상이 나타난다. 한국인에 있어서 남자는 4.2~5.9%, 여자는 0.3~0.7%에서 선천 색각 이상을 보인다<ref>신영주 외, 서한 전산화 색각 검사를 이용한 색상 보정 프로그램의 유용성, JKOS 47(10):1638-1646, 2006 [https://www.jkos.org/upload/pdf/Kjo2047-10-14.pdf 연결]</ref>. | 유럽의 보고에 의하면 남성은 5%에서 녹색각 이상을, 1% 에서 적색각 이상을 보이는 반면 여성은 0.25%에서 녹색각 이상을, 0.01%에서 적색각 이상을 보인다. 또한 12%의 여성이 색각 이상 유전자의 보인자로 알려져 있다. 적색과 녹색을 전혀 구별하지 못하는 적색맹과 녹색맹은 남성의 약 1% 에서 나타나며, 여성은 1만명 당 1명 꼴로 발생한다. 여성의 약 2% 가 색맹 유전자의 보인자이다. 유럽에 비해 아시아에서의 색각 이상자의 빈도는 상대적으로 낮으며 남성에서 4.9%, 여성에서 0.64% 가 색각 이상을 가진다. 흑인, 아메리카 원주민, 멕시코인에서는 빈도가 이보다 낮아 남성의 3.1%, 여성의 0.7% 에서 색각 이상이 나타난다. 한국인에 있어서 남자는 4.2~5.9%, 여자는 0.3~0.7%에서 선천 색각 이상을 보인다<ref>신영주 외, 서한 전산화 색각 검사를 이용한 색상 보정 프로그램의 유용성, JKOS 47(10):1638-1646, 2006 [https://www.jkos.org/upload/pdf/Kjo2047-10-14.pdf 연결]</ref>. | ||
제 1, 2 색각 이상의 비를 이전 연구에서 살펴보면, 미국의 경우 1:3.25<ref>Thuline HC. Color-vision defect in american school children. ''JAMA''. 1964 May 11;188:514-8. [https://pubmed.ncbi.nlm.nih.gov/14159067/ 연결]</ref>, 일본의 경우 1:3.18<ref>Sato S. Statistical observations on congenital abnormalities in colour vision in Japan. ''Acta Soc Ophthalmol Jpn'' 1935;38:2227-30</ref>로 보고되었으나 한국의 경우 1:2.64<ref>정혜욱 등, 색각 이상자에 대한 색각경 검사 성적의 비교 연구, ''JKOS'' 1990;31(8):1084-1088.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2333 연결]</ref>로 비교적 제 2 색각 이상의 비율이 낮게 보고되었다. 김 등의 연구<ref>김종우 등, 선천 색각 이상에서 나겔 색각경과 FM-100 색조 검사의 비교, ''JKOS'' 2020;61(1):101-106.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9653 연결]</ref>에서도 제 1, 2 색각 이상의 비가 1:1.88 ([[나겔 색각경]]), 1:2.12 ([[판스워스-문셀 100 색조 검사|FM 100-hue]]) 로 비교적 제 2 색각 이상의 비가 낮은 결과를 보였다.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