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내절 (inner segment))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 내절 (inner segment) === | === 내절 (inner segment) === | ||
여러 세포 소기관들을 포함하는 부위로,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외절에 가까운 쪽은 타원체 구역 (ellipsoid zone) 이라고 부르며, 미토콘드리아가 다 수 존재하여 여러 에너지 의존적인 시세포 활동에 관여한다. 타원체 구역은 막대세포에 비해 원뿔세포에서 더 크며, 더 많은 미토콘드리아를 함유하고 있다. 세포체 쪽에 가까운 나머지 부위는 근모양 구역 (myoid zone) 이라고 부르며, 세포질 세망 (endoplasmic reticulum), 골지체 (Golgi apparatus) 등 여러 세포소기관이 존재하며, 단백질 합성이 일어나는 부위이다<ref>Young RW. The renewal of photoreceptor cell outer segments. ''J Cell Biol''. 1967 Apr;33(1):61-72. [https://pubmed.ncbi.nlm.nih.gov/6033942/ 연결]</ref>. '근모양(myoid)' 이라는 용어는 실제 수축력을 가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시신경의 외절이 움직임을 보이는 양서류의 유사한 구조물에서 유래하였는데, 사람의 시세포에는 이 부위가 실제로 수축력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ref>Fine BS, Zimmerman LE. Observations on the rod and cone layer of the human retina. A LM and EM study. ''IOVS''. 1963 Oct;2:446-59. [https://pubmed.ncbi.nlm.nih.gov/14069754/ 연결]</ref>. | |||
== 연접 리본 (synaptic ribbons) == | == 연접 리본 (synaptic ribbons) == | ||
막대세포의 소구나 원뿔세포의 소족의 함몰된 부위에서 일어나는 신경 연접은 종종 리본 신경 연접 (ribbon synapse) 을 나타낸다. 망막은 넓은 대역폭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평상시에도 빠르고 지속적인 신경 전달 물질 방출 (tonic neurotransmitter release) 을 유지하고 있는데,리본신경연접은 이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리본 신경 연접을 위해 특수한 구조물이 필요한데, 연접 리본 (synaptic ribbon) 은 리본 신경 연접을 위한 핵심 구조물이다. 연접 리본은 전자 밀도가 높은 반원판형의 구조물로, 여러 연접소포 (synaptic vesicle) 들을 연접전 방출 위치에모아두는역할을한다. 다른 일반적인 신경 연접과 달리 연접 리본에 연결된 연접소포들은 연접전 형질막 (presynaptic plasma membrane) 에서 쉽게 이탈하지 못하고 대부분 세포외 배출 (exocytosis) 을 통해서만 연접 리본에서 분리될 수 있다. 연접 리본의 주된 구성 성분은 립아이(RIBEYE)라고 하는 단백질로 다수의 립아이-립아이 결합을 통해 연접 리본의 뼈대를 형성하게 된다. | 막대세포의 소구나 원뿔세포의 소족의 함몰된 부위에서 일어나는 신경 연접은 종종 리본 신경 연접 (ribbon synapse) 을 나타낸다. 망막은 넓은 대역폭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평상시에도 빠르고 지속적인 신경 전달 물질 방출 (tonic neurotransmitter release) 을 유지하고 있는데,리본신경연접은 이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리본 신경 연접을 위해 특수한 구조물이 필요한데, 연접 리본 (synaptic ribbon) 은 리본 신경 연접을 위한 핵심 구조물이다. 연접 리본은 전자 밀도가 높은 반원판형의 구조물로, 여러 연접소포 (synaptic vesicle) 들을 연접전 방출 위치에모아두는역할을한다. 다른 일반적인 신경 연접과 달리 연접 리본에 연결된 연접소포들은 연접전 형질막 (presynaptic plasma membrane) 에서 쉽게 이탈하지 못하고 대부분 세포외 배출 (exocytosis) 을 통해서만 연접 리본에서 분리될 수 있다. 연접 리본의 주된 구성 성분은 립아이(RIBEYE)라고 하는 단백질로 다수의 립아이-립아이 결합을 통해 연접 리본의 뼈대를 형성하게 된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