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 외사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80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9월 18일 (일)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b>영아 외사시 (infantile exotropia)</b> 는 생후 6개월 이전에 발생하여 생후 6개월 이후에도 지속되는 사시로 비교적 크고 안정된 사시각을 특...)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b>영아 외사시 (infantile exotropia)</b> 는 생후 6개월 이전에 발생하여 생후 6개월 이후에도 지속되는 사시로 비교적 크고 안정된 사시각을 특징으로 한다.
'''영아 외사시 (infantile exotropia)'''{{사시}} 는 생후 6개월 이전에 발생하여 생후 6개월 이후에도 지속되는 사시로 비교적 크고 안정된 사시각을 특징으로 하며, 영아 사시 증후군 (infantile strabismus complex) 라고도 한다<ref>Kraft SP. Infantile exotropia. In : Rosenbaum AL, Santiago AP, eds. Clinical Strabismus Management : Principles and surgical techniques. Philadelphia: WB Saunders, 1999:176-81.</ref>.
== 역학 ==
== 역학 ==
30,000명 중 1명 꼴로 발생하는 드문 질환이다. Biglan 등은 일차 영아 외사시의 유병률은 0.1%, 영아 내사시는 3.6%로 영아 외사시가 영아 내사시보다 드물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30,000명 중 1명 꼴로 발생하는 드문 질환이다. Biglan 등은 일차 영아 외사시의 유병률은 0.1%, 영아 내사시는 3.6%로 영아 외사시가 영아 내사시보다 드물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15번째 줄: 15번째 줄:
== 예후 및 합병증 ==
== 예후 및 합병증 ==
외사시가 성공적으로 교정되더라도 만족스러운 양안시 기능을 얻는 경우는 드물며, 재발이 흔하여 지속적인 경과 관찰이 필요하다.
외사시가 성공적으로 교정되더라도 만족스러운 양안시 기능을 얻는 경우는 드물며, 재발이 흔하여 지속적인 경과 관찰이 필요하다.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