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역학) |
잔글 (→역학)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영아 외사시 (infantile exotropia)'''{{사시}} 는 생후 6개월 이전에 발생하여 1세 이전에 발견되고 35 PD 이상의 비교적 크고 안정된 사시각을 특징으로 하며<ref>김용민 등, 항상 외사시를 보이는 영아 외사시의 임상 양상, 한안지 2006;47:1316-22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6260 연결]</ref><ref>사공민 등, 영아 외사시의 임상 양상, 한안지 2005;46(1):103-110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5745 연결]</ref>, 영아 사시 증후군 (infantile strabismus complex) 라고도 한다<ref>Kraft SP. Infantile exotropia. In : Rosenbaum AL, Santiago AP, eds. Clinical Strabismus Management : Principles and surgical techniques. Philadelphia: WB Saunders, 1999:176-81.</ref>. | '''영아 외사시 (infantile exotropia)'''{{사시}} 는 생후 6개월 이전에 발생하여 1세 이전에 발견되고 35 PD 이상의 비교적 크고 안정된 사시각을 특징으로 하며<ref>김용민 등, 항상 외사시를 보이는 영아 외사시의 임상 양상, 한안지 2006;47:1316-22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6260 연결]</ref><ref>사공민 등, 영아 외사시의 임상 양상, 한안지 2005;46(1):103-110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5745 연결]</ref>, 영아 사시 증후군 (infantile strabismus complex) 라고도 한다<ref>Kraft SP. Infantile exotropia. In : Rosenbaum AL, Santiago AP, eds. Clinical Strabismus Management : Principles and surgical techniques. Philadelphia: WB Saunders, 1999:176-81.</ref>. | ||
== 역학 == | == 역학 == | ||
건강한 신생아의 33~70%에서 외편위가 보인다. | 건강한 신생아의 33~70%에서 외편위가 보인다<ref>Archer SM et al. Strabismus in infancy. ''Ophthalmology''. 1989 Jan;96(1):133-7. [https://pubmed.ncbi.nlm.nih.gov/2919045/ 연결]</ref><ref>Nixon RB et al. Incidence of strabismus in neonates. ''AJO''. 1985 Dec 15;100(6):798-801. [https://pubmed.ncbi.nlm.nih.gov/4073176/ 연결]</ref>. 하지만, 시각계가 성숙해지면서 생후 4개월이 되면 대부분 정위가 되고 6개월 이후까지 외편위가 남는 경우는 드물다<ref>Sondhi N et al. Development of normal ocular alignment.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1988 Sep-Oct;25(5):210-1. [https://pubmed.ncbi.nlm.nih.gov/3171824/ 연결]</ref>. 그래서 영아 외사시는 6~12개월 사이에 진단하게 된다<ref>Rubin SE et al. Infantile exotropia in healthy children. ''Ophthalmic Surg''. 1988 Nov;19(11):792-4. [https://pubmed.ncbi.nlm.nih.gov/3222041/ 연결]</ref>. | ||
30,000명 중 1명 꼴로 발생하는 드문 질환이다. Biglan 등은 일차 영아 외사시의 유병률은 0.1%, 영아 내사시는 3.6%로 영아 외사시가 영아 내사시보다 드물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 30,000명 중 1명 꼴로 발생하는 드문 질환이다. Biglan 등은 일차 영아 외사시의 유병률은 0.1%, 영아 내사시는 3.6%로 영아 외사시가 영아 내사시보다 드물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