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 주시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44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9월 18일 (일)
잔글
잔글 (→‎원인)
 
1번째 줄: 1번째 줄:
'''한눈 주시 증후군 (monofixation syndrome; MFS)'''{{사시}} 은 미세 사시(microtropia)라고도 하며, 두눈 주시 때 비주시안에 작은 황반 억제 암점이 존재하여 두눈으로 보는데도 기능적으로 한 눈으로만 보는 상태이다.
'''한눈 주시 증후군 (monofixation syndrome; MFS)'''{{사시}} 은 미세 사시(microtropia)라고도 하며, 두눈 주시 때 비주시안에 작은 황반 억제 암점이 존재하여 두눈으로 보는데도 기능적으로 한 눈으로만 보는 상태이다.
== 원인 ==
== 원인 ==
Lang에 따르면 일차적으로 특별한 원인 없이도 발생한다. 이차적으로는 [[영아 내사시]]의 수술 후 많이 생기고, 큰 각의 사시 수술 후, 굴절 부등, 한눈의 기질적인 황반 병변, 약시, 망막 중심오목외 주시, 작은 각의 사시, 불량한 입체시 등에서 나타날 수 있다. 내사시의 90%, 외사시의 10%에서 나타난다. 외사시는 간헐성이 많고(79%), 내사시는 불변성이 많아(70%) 내사시에서 발생률이 높다.
Lang에 따르면 일차적으로 특별한 원인 없이도 발생하지만, 대부분 이차성으로 발생한다. 이차적으로는 [[영아 내사시]]의 수술 후 많이 생기고, 큰 각의 사시 수술 후, 굴절 부등, 한눈의 기질적인 황반 병변, 약시, 망막 중심오목외 주시, 작은 각의 사시, 불량한 입체시 등에서 나타날 수 있다. 내사시의 90%, 외사시의 10%에서 나타난다. 외사시는 간헐성이 많고(79%), 내사시는 불변성이 많아(70%) 내사시에서 발생률이 높다.
 
== 병태 생리 ==
== 병태 생리 ==
한 눈의 망막 중심 오목과 다른 눈의 황반으로 융합하여 물체를 입체적으로 주시한다. 이 상태는 <span style='color:blue;'>망막 중심 오목-황반이 대응하는 주변 융합</span>이지만 Panum 영역이 옆으로 넓게 뻗어 있끼 때문에 정상 융합이 가능하다. 60~3,000초각의 <span style='color:blue;'>불완전 입체시</span>를 갖고 정상 망막 대응으로 해석되며, Jampolsky는 두눈 망막 중심 오목 주시의 결손 외에는 정상 융합이므로 정상 망막 대응 주변 융합이라고 하였다.
한 눈의 망막 중심 오목과 다른 눈의 황반으로 융합하여 물체를 입체적으로 주시한다. 이 상태는 <span style='color:blue;'>망막 중심 오목-황반이 대응하는 주변 융합</span>이지만 Panum 영역이 옆으로 넓게 뻗어 있끼 때문에 정상 융합이 가능하다. 60~3,000초각의 <span style='color:blue;'>불완전 입체시</span>를 갖고 정상 망막 대응으로 해석되며, Jampolsky는 두눈 망막 중심 오목 주시의 결손 외에는 정상 융합이므로 정상 망막 대응 주변 융합이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