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헐 내사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781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9월 24일 (토)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3번째 줄: 13번째 줄:


피곤하거나 아플 때, 융합 눈벌림이 부족한 상태에서 간헐적으로 현성 내사시가 발현되고, 이와 연관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인데, 조절이 잘 되는 상태이거나 어릴 때 발생하면 대부분 증상을 느끼지 못하며 융합이 완성된 8~9세 이후 현성 사시가 발생되면 특징적으로 주기적인 복시나 혼란시를 느끼게 되고, 특히 긴 시간 공부를 하거나 각성이 저하될 때 주로 근거리 복시를 호소한다. 현성 사시가 나타나기 전에는 모호한 눈피로나 흐려보임만을 호소하며, 대부분 어린이에서는 무증상이고 내편위가 부모에 의해 인지되어 내원한다고 하였다.
피곤하거나 아플 때, 융합 눈벌림이 부족한 상태에서 간헐적으로 현성 내사시가 발현되고, 이와 연관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인데, 조절이 잘 되는 상태이거나 어릴 때 발생하면 대부분 증상을 느끼지 못하며 융합이 완성된 8~9세 이후 현성 사시가 발생되면 특징적으로 주기적인 복시나 혼란시를 느끼게 되고, 특히 긴 시간 공부를 하거나 각성이 저하될 때 주로 근거리 복시를 호소한다. 현성 사시가 나타나기 전에는 모호한 눈피로나 흐려보임만을 호소하며, 대부분 어린이에서는 무증상이고 내편위가 부모에 의해 인지되어 내원한다고 하였다.
== 치료 ==
내사위나 간헐 내사시의 치료 목적은 다른 형태의 잠복 혹은 현성사시와 마찬가지로 환자가 편안하며 기능적으로 완전한 양안시를 갖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다르지만 중요한 점은 내사위 자체가 눈피로나 양안시 기능저하를 초래하지 않는다면 치료의 대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 비수술 ===
+1.25 D 이상의 원시가 있으면서 증상이 있는 내사위 환자는 내사시와 마찬가지로 굴절 이상을 먼저 교정하고, 높은 AC/A비를 가지면서 원시가 없이 증상이 있는 내사위에서는 이중 초점 렌즈나 축동제 사용을 먼저 고려한다. 프리즘 바닥을 바깥으로 하는 것이 증상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나,프리즘 처방은 환자의 불편을 덜어주는 일시적 치료이며 근본적인 치료는 아니다. 보통 내사시각의 1/2~1/3 에 해당하는 프리즘을 처방하는데, 이는 융합 눈벌림을 완전히 억제하지 않으면서 비조절 내사위에서 증상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사시각 전부를 프리즘으로 교정해주면 융합 눈벌림의 필요가 없어져 점점 프리즘 안경에만 의존할 수도 있다. 조절과 같은 동적 요인에 의한 내사위에서는 프리즘 처방에 의해 내사위가 증가하거나 편히 느낄 수 있는 프리즘의 크기가 증가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기능 훈련에 잘 반응하지 않는 나이든 환자에서 프리즘을 사용해 볼 수 있으며,어린아이에서는 수술 전에 융합을 유지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프리즘을 사용하기도 한다 (prismatic orthophorization).
=== 수술 ===
근육 눈피로가 있거나 자주 사시가 나타 날 때,복시 같은 증세가 있을 때 굴절 이상을 완전히 교정한 뒤,사위의 크기가 과교정의 위험이 적은 12 PD 이상으로 안정되었을 때에 시행한다. 수술의 양은 잠복이나 간헐성 혹은 현성에 관계 없이 사시각을 모두 교정하여 눈을 똑바르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두눈 내직근 후전술이 가장 흔히 사용되지만한 눈에서 내직근 후전과 외직근 절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소아의 경우 약간 과교정이 되어도 융합이 가능하지만 어른의 경우 크기가 아무리 작더라도 속발 외사시가 되면 복시가 생겨서 견디기 힘들다. 운동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융합력의 범위는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므로 어른 특히 50세 이상의 연령에서의 사위 환자에서는 먼저 프리즘 처방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먼저 시도하고 마지막으로 수술을 선택한다.81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