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수술) |
잔글 (→증상)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피곤하거나 아플 때, 융합 눈벌림이 부족한 상태에서 간헐적으로 현성 내사시가 발현되고, 이와 연관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인데, 조절이 잘 되는 상태이거나 어릴 때 발생하면 대부분 증상을 느끼지 못하며 융합이 완성된 8~9세 이후 현성 사시가 발생되면 특징적으로 주기적인 복시나 혼란시를 느끼게 되고, 특히 긴 시간 공부를 하거나 각성이 저하될 때 주로 근거리 복시를 호소한다. 현성 사시가 나타나기 전에는 모호한 눈피로나 흐려보임만을 호소하며, 대부분 어린이에서는 무증상이고 내편위가 부모에 의해 인지되어 내원한다고 하였다. | 피곤하거나 아플 때, 융합 눈벌림이 부족한 상태에서 간헐적으로 현성 내사시가 발현되고, 이와 연관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인데, 조절이 잘 되는 상태이거나 어릴 때 발생하면 대부분 증상을 느끼지 못하며 융합이 완성된 8~9세 이후 현성 사시가 발생되면 특징적으로 주기적인 복시나 혼란시를 느끼게 되고, 특히 긴 시간 공부를 하거나 각성이 저하될 때 주로 근거리 복시를 호소한다. 현성 사시가 나타나기 전에는 모호한 눈피로나 흐려보임만을 호소하며, 대부분 어린이에서는 무증상이고 내편위가 부모에 의해 인지되어 내원한다고 하였다. | ||
=== 감각 이상 === | |||
간헐 내사시 어린이에서 내사시를 보이지 않을 때 에는 정상 양안시를 보이지만 현성 사시가 있는 동안에는 복시를 피하기 위해 억제나 [[이상 망막 대응]] 같은 감각 적응이 일어난다. 그러나 Hynn 등47은 사위나 간헐 내사시에서 두 눈을 동시에 쓸 때에도 황반 억제를 보이거나 망막 중심오목 시각 방향의 불안정성이라 불리는 상태가 유발될 수 있으며,이것이 양안시 기능 이상의 회복에 장애물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황반 억제를 보이는 환자에서도 주변 망막의 자극으로 융합 기능이 가능하지만 두눈 주시 상태에서 황반 억제는 입체시 감소의 원인이 된다. | |||
== 치료 == | == 치료 == | ||
내사위나 간헐 내사시의 치료 목적은 다른 형태의 잠복 혹은 현성사시와 마찬가지로 환자가 편안하며 기능적으로 완전한 양안시를 갖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다르지만 중요한 점은 내사위 자체가 눈피로나 양안시 기능저하를 초래하지 않는다면 치료의 대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 내사위나 간헐 내사시의 치료 목적은 다른 형태의 잠복 혹은 현성사시와 마찬가지로 환자가 편안하며 기능적으로 완전한 양안시를 갖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다르지만 중요한 점은 내사위 자체가 눈피로나 양안시 기능저하를 초래하지 않는다면 치료의 대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