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bectome: 두 판 사이의 차이

1,715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9월 26일 (월)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6번째 줄:
* 전방각이 좁거나 과거 [[섬유주 절제술]]이 실패한 환자
* 전방각이 좁거나 과거 [[섬유주 절제술]]이 실패한 환자
* [[거짓비늘 증후군]]
* [[거짓비늘 증후군]]
== 임상 결과 ==
메타 분석 결과 14개 연구의 5,091명 환자에서 안압이 21 mmHg 이하이면서 술 전 안압보다 20% 감소하는 경우를 성공으로 정의했을 때 확률은 66% 였다. 백내장 수술과 Trabectome을 함께 시술한 경우 술 전 안압이 21.0±1.3 에서 6.2±1.9 mmHg (27%) 로 감소했고,약제 개수는 0.8土0.4개 감소 했으며, 2년 후 평균 성공률은 85%였다. Trabectome만 시술한 경우 술 전 안압이 26.7±1.3 에서 10.5±1.9 mmHg (39%) 로 감소하고 약제 개수는 1.0±0.5개 감소했고 2년 후 평균 성공률이 46%에 달했다. Trabectome 시술 후 보고된 가장 흔한 합병증은 일시적인 전방 출혈,[[주변부 홍채 유착]],각막 손상,일시적인 안압 상승이었으며, 시력을 위협하는 심각한 합병증의 비율은 미미했고 (<1%), 수술 1개월 후 저안압(< 5 mmHg),섬모체 해리 틈새, 맥락막 출혈, 안내염 등이 있었다<ref>Kaplowitz K et al. Review and meta-analysis of ab-interno trabeculectomy outcomes. ''BJO''. 2016 May;100(5):594-600. [https://pubmed.ncbi.nlm.nih.gov/26733487/ 연결]</ref>.
국내에서는 MIGS에 대한 개념이 생소하고 녹내장의 보조적인 치료로만 인식되었던 2010년에 소개되어 활발히 사용되지 못했고, [[섬유주 절제술]]과 아메드 장치 삽입술을 시행해도 안압 조절이 되지 않은 난치성 개방각 녹내장환자에게 시행한 증례가 있다<ref>정희영 등, 난치성 개방우각 녹내장에서 시행한 Trabectome®을 이용한 섬유주 절개술 1예, ''JKOS'' 2011;52(4):502-506.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7951 연결]</ref>.
{{참고}}
{{참고}}